Tositarkoituksella (1943)
장르 : 코미디, 로맨스
상영시간 : 1시간 19분
연출 : Valentin Vaala
시놉시스
A young woman leaving the city for the countryside encounters the concept of voluntary work - new to her. She eventually does good, and charms the employer at the same time.
Pascale leads a lonely life with her adult sons François and Thierry at a rural estate subsidized by her ex-husband's alimony payments. When Pascale falls for neighbor Jan , she makes plans to move in with him. But Pascale's twin sons -- loafers who treat her like a servant and refuse to accept the responsibilities of adulthood -- won't let her go. The family remains locked in a stalemate until someone makes a startling move.
While spending time at her grandparent's secluded summerhouse to clean up the place after her grandmother's death, a young woman is plagued by horrible visions and dreams of tragic past events.
The life of 20-year-old Nico from upper class Zurich is all party, sex and drugs when she meets Paco, the front man of a rap band. She finds herself drawn to his independent, creative and profound way of life, so different from her own. With naiveté and infinite self-confidence, she tries to adopt his lifestyle - without anticipating the consequences.
프랑스 소설가 발자크의 소설 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한 작품으로 그 내용의 줄거리가 거의 흡사하다. 줄거리 자체만으로는 단순하며 상투적인 모습을 보여주지만 쟈끄 리베트 감독의 손을 거쳐서 탄생한 은 예술작품에 대한 감독의 실험정신을 영화 속 주인공 프뤼노페르를 통해 재현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프뤼노페르는 10년 전 아내인 리즈(제인 버킨 분)를 모델로 그리다가 실패하고 만 미완의 그림 '미녀 싸움꾼 (La Belle Noiseuse)'을 다시 그리는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새로운 모델은 그를 찾아온 젊은 화가 니꼴라의 여자친구인 마리안느(엠마뉴엘 베아르 분)가 되며, 이 작업은 화가와 모델의 끊임없는 자아찾기와 작품에 대한 열망, 그와 연결된 인물들 사이의 관계와 설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섬세하게 표현해 낸다.
A writer returns home to his estate after service in World War I. He has developed a very bad case of depression due to a war wound concerning his genitalia. He contemplates suicide, but recovers after becoming interested in his caretaker's 12 year-old war orphan niece, who now lives in the manor.
양부모와 함께 살고 있던 LA의 10대 소녀 케이시. 여느 때처럼 불량 친구들과 어울리며 동네를 쑥대밭으로 만들며 말썽을 피우고 집에 돌아왔더니... 어라? 양부모가 왠 낯선 사람을 데리고 있다! 이 낯선 사람, 젠킨스의 손에 끌려서 영국인 해리 번디지에게로 인도되고, 번디지는 케이시를 귀부인 세인트 에드먼드 여사의 실종된 손녀, 마거릿이라고 속일 계획과 함께 영국으로 귀국한다. 번디지와 여동생 클레라 (클레라는 세인트 에드먼드 여사가 사는 '캔들슈'저택에서 한때 일했었다.)가 교육시킨 대로 행동하는 케이시를 보고 귀부인은 마거릿이 맞다며 반가워하지만, 사실 이 귀부인의 작고한 남편이자 캔들슈의 전주인의 조상은 해적선장으로, 그 조상이 모아둔 스페인 황금을 영영 찾지 못하면 저택을 통째로 팔아넘겨야할 형편. 번디지가 케이시를 끌고 온 진짜 이유는 처음부터 여기에 있었다: 금화를 챙겨서 한탕 하려는 속셈! 하지만 이것도 모르고, 캔들슈에 입양되서 살아온 아이들 (클루니, 피터, 애나, 보비)은 때론 다투고, 사과하고, 힘을 합치며 점차 케이시/마거릿과 가까워지는데...
양아치 무리들과 어울려 놀던 여고생 앨리슨과 에밀리가 마약을 판매하는 갱단 헥터를 만나게 되고, 그들의 모습에 흥미를 느낀 앨리슨은 그들의 파티에 참석하게 된다. 자신들의 무리에 끼고 싶다면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만큼의 사람과 섹스를 해야 하는 주사위 게임을 제안 하는데...
농기구 회사의 영업사원인 버드(George Bird: 알렉 기네스 분)는 불치병 진단을 받는다. 의사는 외로운 그에게 주변을 정리하고, 여행을 다니면서 남은 인생을 보내라고 충고한다. 버드는 직장을 그만두고 그 동안 모아둔 돈을 찾아 유명 인사들이 출입하는 고급 호텔에 투숙한다. 사회적으로 상류층에 속하는 투숙객들은 돈도 많고 생활에 여유도 있지만 가식적이고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한편 순수하고 다정다감한 버드에게 투숙객 및 종업원들 모두 호감을 갖게되고, 버드는 호텔에 묵고 있는 발명가로부터 사업적인 제의를 받는다든가 정치가 등으로부터 여러 가지 제안을 받는다. 일상적인 욕심을 벗어나 인생을 정리하는 그에게는 행운도 따라주어 경마, 카드 등으로 돈을 벌게 되고 그 돈으로 어려움에 처한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그리고 호텔 객실 관리원인 풀 부인(Mrs. Poole: 케이 월쉬 분)과의 애정도 싹튼다. 하지만 인생에서 처음 느껴보는 이런 행복도 죽음을 앞둔 버드에게는 진정한 행복으로 느껴지지 않는데...
도시 사람들이 어떤 시골의 별장을 방문한다. 무덤에서 시체들이 깨어나 별장을 둘러싸는데..
범죄마저 대물림 되는 미국 최대 범죄도시 보스턴. 전직 아이스하키 선수였지만 지금은 막노동꾼으로 보이는 더그(벤 애플렉)의 진짜 본업은 은행 강도다. 실패를 모르는 최고 은행 강도단의 리더 더그는 우연히 자신이 인질로 잡았던 여자를 사랑하게 된다. 그녀를 사랑하게 되면서 더그는 보스턴을 벗어나 새로운 삶을 꿈꾸지만, 죽음이 아니고서는 절대 보스턴을 떠날 수 없다는 조직의 수칙이 그를 얽맨다. 결국 그는 거액이 걸린 마지막 한탕을 앞두고 조직에 대한 배신, 그리고 FBI까지 얽힌 피할 수 없는 전쟁을 선포하는데...
A grieving Connecticut mother temporarily switches houses with a woman in Dublin, Ireland.
1932년 영국 고스포드 파크의 대저택에서 사냥 파티가 열린다. 저택의 주인인 윌리엄 매코들 경과 그의 부인은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귀족적인 상류층 인사들을 맞아들이고, 저택은 파티 준비로 시끌벅적해진다. 위층에서 귀족들의 허영 넘치는 잡담이 오고 가는 사이, 인사들을 모시고 온 하인들은 좁고 복잡한 아래층에서 귀족들의 사치스러운 파티를 빛내기 위한 준비에 분주하다. 귀족과 하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는 시대에 유독 엄격한 계급적 구분이 존재하는 이 공간에서 귀족과 하인들은 자신들 안에서조차 경계를 나누려 애쓴다. 정해진 살인사건의 순간이 다가오면서 영화는 등장인물들 각자에게 관객이 납득할 만한 살인의 동기를 부여한다. 드디어 매코들 경이 자신의 서재에서 송곳에 찔려 숨진 채 발견되면서 저택은 일순간 공포의 도가니로 돌변한다. 살인자는 귀족일 수도 하인일 수도 있다. 수사에 나선 톰슨 형사는 저택의 모든 사람들을 심문하고, 베일을 벗는 비밀은...
프랑스 외인 부대 병사인 리온(Lyon: 쟝-끌로드 반담)은 형이 중태에 빠져있다는 소식을 듣고 휴가를 신청하자 거절당하고 끝내는 탈영을 하게 된다. 외인 부대에서는 리온을 잡기 위해 추적자를 보내고, 리온은 뉴욕에 도착한 후 여비 마련을 위해 우연히 만난 죠슈아(Joshua: 해리슨 페이지 분)와 지하 주먹 싸움계에 뛰어든다. 혈전을 거듭하면서 돈을 마련한 리온은 죠슈아와 LA로 가지만 형도 이미 숨을 거두고 형수(Helene: 리사 펠리칸 분)는 리온을 오해해 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리온은 신시아(Cynthia: 데보라 레나드 분)의 소개로 주먹싸움을 하며 번 돈을 계속 형수에게 익명으로 보낸다. 형수와의 관계를 오해한 신시아는 무적의 아시아 챔피언과의 싸움을 계략적으로 준비해 그를 함정에 빠뜨리려고 하나 리온은 그의 힘과 의지를 다해 시합에서 이긴다. 한편 그를 찾아온 추적자들은 형수와 조카딸을 위하는 리온을 풀어주고 화해를 한다.
일류 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프렙 스쿨에 다니는 상류 계급의 자제, 통칭 프레피들의 삶을 시니컬하게 그린 청춘 코미디. 제작·감독·각본은 스스로도 프레피 출신으로 이 영화가 데뷔작인 윗 스틸만이다.
인상파 화가 르노와르의 아들인 장 르노와르의 야유와 풍자가 난무하는 클래식 필름. 프랑스 지배계층에 대한 부도덕한 묘사로 인해 1959년에야 검열 삭제 부분이 복원, 완성된 영화로 공개되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영화가 표현할 수 있는 미장센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작품이라 추앙받기도 하는 이 작품은 갖가지 계층의 프랑스인들이 모인 대저택에서 벌어지는 며칠간의 에피소드를 줄거리로 하고 있다. 하지만 줄거리 보다도 내러티브, 즉흥연기, 딥 포커스, 카메라 무브먼트, 모짜르트 음악 등이 영화의 풍부함을 더해준다. 감독 스스로가 이야기하는 이 영화의 주제는 '인생은 멈추어 있지 않고 항상 흐른다'라는 것.
맨하탄의 최상류층 자제인 캐더린(사라 미셸 겔러)과 세바스찬(라이언 필립)은 의붓 남매 사이이다. 캐더린의 남자 친구가 순진한 세실에게 마음을 빼앗기자 질투가 생긴 캐더린은 세바스찬에게 세실을 유혹해 잠자리를 같이 해 달라고 부탁한다. 세바스찬은 많은 여성을 농락한 경험이 있는 남자로 캐더린의 부탁을 들어주는데 세실은 엉뚱하게도 자신의 첼로 교습을 맡고 있는 로날드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던 어느 날 세바스찬에게 새로운 유혹 목표가 생기는데, 학장의 딸 아네트(리즈 위더스푼)가 바로 그 상대이다. 세바스찬은 캐더린과 가을 학기가 되기 전까지 아네트를 침대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것에 내기를 건다. 만일 세바스찬이 실패하면 세바스찬이 아끼는 재규어를 주고 이기면 그들의 부모가 결혼하기 전부터 세바스찬이 원하던, 캐더린과의 잠자리를 허락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세바스찬은 아네트로 인해 진정한 사랑과 기쁨을 느끼게 되고, 아네트 역시 세바스찬에게 조금씩 마음을 여는데...
벵갈의 부유한 영주 비스왐바르 로이. 하지만 그에게 더 이상의 추가 수입은 전무하고, 강의 범람으로 토지는 점차 줄어들고 허물어진다. 그럼에도 사치스런 생활을 지속하며, 저택에서 가장 화려하게 꾸민 ‘뮤직룸’에서 음악을 즐기고, 연주회를 열던 로이는 쇠락해가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고 옛 영광만을 추억한다.
벵갈의 가난한 소년 아푸의 일생을 연대기적으로 그린 ‘아푸 3부작’으로 인도영화의 선구자는 물론 세계적 거장으로 자리매김한 레이는 ‘아푸 3부작’과 마찬가지로 네오리얼리즘적인 시선을 유지한다. 이전보다 좀 더 침울하고 애조 띤 화면은 한 시대의 우울한 몰락 과정을 감각적으로 환기시킨다.
추리 소설가가 아내의 애인과 보험사기를 꾸민다. 하지만, 사건은 겉으로 보는 것과 다르게 흘러간다.
통일 전쟁이 한창인 이탈리아, 가리발디가 이끄는 혁명군이 시칠리아에 상륙하자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의 공작 살리나는 동요하는 가족을 달랜다. 그 와중에 귀족 신분으로 혁명군에 가담한 조카가 전쟁 영웅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오고 살리나는 조카를 마을 시장의 딸인 안젤리카와 결혼시키려 하는데...
19세기 주세페 가리발디가 이탈리아를 통일했던 시기의 시칠리아를 배경으로 쇠락해가는 귀족들의 모습을 오페라처럼 그려낸 웅장하고 우아한 시대극. 버트 랭카스터, 알랭 들롱의 탁월한 연기와 귀족들의 화려한 의상, 고급스런 실내장식 등 미장센에 대한 치밀한 연출이 돋보이는 이 작품은 시칠리아 3부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1963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1997년 8월, 영국 왕실에서 배출한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여인인 다이애나 왕세자비가 불의의 교통사고로 사망했다는 비극적인 소식이 전해진다. 이미 왕실을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던 다이애나 비의 사망 소식은 전 세계를 충격에 휩싸이게 하였고, 영국 국민은 순식간에 패닉 상태에 빠진다. 다이애나 비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버킹엄 궁전으로 향하는 추모 행렬을 끊이지 않고 이어지지만 정작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어머니의 죽음으로 실의에 빠진 어린 두 왕자를 데리고 발모랄 성으로 잠시 떠나 있는다. 그 사이, 다이애나 비의 죽음과 관련해 조기 게양도 하지 않고 그 어떤 공식적인 발표도 없는 여왕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날로 심해져 가고, 각종 언론들도 이런 여왕의 태도를 연일 비난한다. 심지어 군주제가 흔들릴지도 모른다는 체제 위기론까지 거론되며 여왕의 심기를 불편하게 한다. 새로 부임하게 된 토니 블레어 총리는 멀어지기만 하는 왕실과 국민들 사이의 화해를 위해 여왕을 설득하기 시작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