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에 최고와 최상을 추구하는 패트릭 베이트만. 하버드 MBA출신의 그는 합병회사의 최고경영자이다. 최고급 브랜드의 옷을 입고, 최고급 향수를 뿌리며 아무나 예약할 수 없는 최고급 식당에서 식사를 즐긴다. 패트릭은 자신보다 더 잘나가는 폴이에게 적대감을 느끼고 그를 자신의 집으로 불러들여 살인을 저지른다. 곧 일상으로 복귀한 패트릭은 간밤의 살인은 까맣게 잊은 듯 하다. 그러나 사실 그는 살인에서 묘한 쾌감을 얻었다. 죄책감없이 일상으로 완벽하게 복귀한 듯 보이지만, 그는 어느 새 다른 대상을 물색하는 자신을 본다.
아멜리에의 프로듀서가 전세계 최고의 감독 20명과 찍은 18편의 옴니버스 영화로, 파리를 배경으로 한 18가지의 색다른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5분의 제한 시간 안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들의 한가지 공통점은 바로 '사랑의 도시, 파리'라는 주제이다. 각각의 감독들은 이 주제를 받아들이고 자신들만의 개성을 듬뿍 담은 작품들을 탄생시켰다. 마치 를 연상시키는 내레이션으로 연결된 18편의 짧은 영화들은 파리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갖가지 훈훈한 사랑의 기운을 전달하고 있다. 파리 시내 20개 구 중 한 곳을 골라 최소한의 비용으로 5분 동안 사랑이야기를 찍기. 에 참여한 20명의 감독에게 주어진 공통조건이었다. 몽마르트 언덕, 에펠탑, 차이나타운, 마레, 센 강변 등 파리 곳곳을 배경으로, 현대 파리의 일상과 주인공들의 천차만별 사랑, 그리고 세계 곳곳의 감독들이 파리에 보내는 사랑이 함께 어우러진다. 감독들 각자의 개성과 세계적인 스타들의 모습이 몽타주된 감미로운 영화.
미국에서 자란 유태인 조나단은 나치로부터 할아버지를 구해준 인물을 찾아 우크라이나로 향한다. 그를 안내해 줄 가이드는 장님인 체 하는 괴팍한 노인과 영어에 서툰 알렉스, 그리고 사나운 똥개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주니어. 채식주의자이고 개 공포증이 있는 조나단은 유태인과 미국인을 싫어하는 가이드와 함께 할아버지의 숨겨진 과거를 찾아 떠난다.
음향 기사인 필립은, 리스본에서 독립영화 제작 중 예술가로서의 막다른 골목에 처한 동료 프리드릭의 의 도와달라는 요청에...그는 포르투갈을 향해 중고차를 몰고 친구의 구조 여정을 떠난다. 힘든 여정 끝에 도착한 프리드릭의 아파트에 본인은 잠적하여 없고, 필립이 접하게되는 것은, 프리드릭이 찍다만 흑백 무성영화, 읽다만 책, 그가 사귄 동네 아이들, 배경음악을 담당할 지방 음악인들이다. 이들을 단서로 프리드릭의 이미지에 맞는 음향 편집을 위해, 필립은 도시를 돌아다니며 소리 채집을 시작한다. 이 영화의 마지막 20분을 남겨 놓고 필립이 드디어 만나게 된 프리드릭은, 컴퓨터 시대의 오염된 쓰레기 이미지를 한탄한다. 그는, 영화사의 재출발을 위해 자신이 시도했던, 원천적 "카메라를 든 사나이"로의 재귀마저도 충분치 않았다며, 순수한 이미지 포착를 위해선, 시각의 주체를 완전히 배제한 촬영 방식 (등에 카메라를 맨 방식)을 시도해야 한다고 선언한다. 이미지 집착이 아닌, 영화 매체의 포괄적인 성격에 이미 익숙해온 필립은, 컴퓨터 시대의 원천적 '녹음기를 든 사나이'로 좀 더 여유가 있다. 그는, 프리드릭에게 남긴 녹음 메세지를 통해, 쓰레기 이미지를 탓하기 보다,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충고한다.
2006년 겨울 아침, 호수 위의 집에 살던 의사 케이트 포레스터(산드라 블록)는 시카고의 병원 생활을 위해 집을 떠나야 하는 것이 못내 아쉽다. 다음 세입자에게 자기 앞으로 오는 우편물을 챙겨달라는 것과 현관 앞의 강아지 발자국은 이사오기 전부터 있었다는 설명을 적어 우편함에 넣는다. 뒤 이어 호수 위의 집으로 오게 된 건축가 알렉스 와일러(키아누 리브스)는 케이트의 편지와는 달리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아 잡풀이 무성하고 강아지의 발자국이란 어디를 찾아봐도 보이지 않아 당황한다. 그러나 며칠 후, 페인트 칠을 하고 있을 때 집 잃은 강아지가 현관을 밟고 지나가 그 자리에 발자국이 남자 알렉스는 우편함으로 주고받은 편지를 통해 케이트가 2004년 자신과 2년이나 떨어진 시간에 있음을 알게 된다. 어느새 서로에게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된 그들은 다른 시간의 차이를 극복해보기로 하는데...
전자동 시스템의 만능 주택에서 살고 있는 부부는 그 만족감으로 행복하다고 여기며 산다. 그들은 이 호화로운 저택이 자신들의 사회적 입지에 아주 걸맞고 자신들이 누구보다 멋진 문화적 삶을 누리고 있다고 자부한다. 그들은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꼭 물고기 분수대를 켜놓거나 싱크대로 데려가 자동 요리 기계를 선보이곤 한다. 방문하는 사람들은 모두 전자동화된 이 집을 부러움의 눈길로 지켜본다. 이들에게 부는 물질과 동의어가 되어버렸고 여유로운 삶이란 허상 속에 존재할 뿐이다. 그런데 이 집의 외아들은 잠깐이면 완성되는 규격화된 스테이크만 먹는 일도 지겹고 새로울 것이라곤 하나도 없는 이 겉으로는 완벽한 공간이 그렇게 지루할 수 없어 보인다. 그에겐 이 공간이 하나도 자랑이 되지 못한다. 그에게 그나마 위안이 돼주는 건 무일푼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미로 같은 집에 살지만 적어도 자신을 귀찮게 하지 않는 윌로 씨다. 윌로 씨는 매형인 사장의 공장에서 일해보지만 그는 자동화 기계와 인간이 해야 할 역할을 잘 알지 못하고 엉뚱한 사고를 치게되는데...
A train speeds through the country on its way to Berlin, then gradually slows down as it pulls into the station. It is very early in the morning, about 5:00 AM, and the great city is mostly quiet. But before long there are some signs of activity, and a few early risers are to be seen on the streets. Soon the new day is well underway. It's just a typical day in Berlin, but a day full of life and energy.
뜻하지 않은 사고로 어린 딸을 잃은 존(도날드 서덜랜드 분)과 로라(줄리 크리스티 분) 부부는 베니스로 이사를 가 아이를 잃은 슬픔을 잊어보려 하지만 주위가 딸의 죽음을 생각하는 것들로 둘러싸여 있음을 깨닫게 된다. 앞을 못 보는 심령술사 여동생을 만나면서 부부의 불길함은 더해지고, 여동생은 죽은 딸의 영혼을 만나게 해주겠다고 약속한다.
로라는 여동생의 생각을 받아들이며 죽은 딸과 교감하려 하고, 자신의 생각을 남편에게도 확신시키려 노력한다. 좀처럼 로라의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던 존은 자신의 딸이 입었던 빨간 코트를 입은 누군가의 흐릿한 모습을 보게 되는 환상을 경험하면서 점차 영적 세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다.
Sam and Matt flee their small mid-western town for New York City, where hot girls roam the streets! After months of trying to pick up ladies and failing miserably, they come up with the idea to hold a fake audition to meet chicks. Hilarity ensues when dozens of sexy, talentless, babes show up and compete for a job that doesn t exist. However, when an out of town farm girl shows up for the audition they are instantly smitten. Will these phony auditions come in the way of them finding true love?
Based on the Ukrainian vaudeville by Mykhaylo Staritsky, the famous Ukrainian writer. The leading character, Svirid Petrovich Golokhvosty had his own barbershop in town and a reputation of a dandy. Once, after losing everything he had at cards, he decided to remedy his financial situation by a profitable marriage. A rich but ugly girl named Pronya Sirko fell for the illustrious suitor’s courtship...
Featuring never-before-seen film footage of Adolf Hitler and the Nazi regime, The Architecture of Doom captures the inner workings of the Third Reich and illuminates the Nazi aesthetic in art, architecture and popular culture. From Nazi party rallies to the final days inside Hitler's bunker, this sensational film shows how Adolf Hitler rose from being a failed artist to creating a world of ponderous kitsch and horrifying terror. Hitler worshipped ancient Rome and Greece, and dreamed of a new Golden Age of classical art and monumental architecture, populated by beautiful, patriotic Aryans. Degenerated artists and inferior races had no place in his lurid fantasy. As this riveting film shows, the Nazis went from banning the art of modernists like Picasso to forced euthanasia of the retarded and sick, and finally to the persecution of homosexuals and the extermination of the Jews.
폴란드가 터키의 침공을 받자, 폴란드에 인접한 기마족 코사크는 폴란드와의 동맹국으로서 전쟁에 참여한다. 하지만 폴란드가 배신하자, 코사크족은 대초원을 되찾기 위한 재기와 복수를 다짐한다. 이들 중 한 사람인 용맹한 용사 타라스 부리바는 이즈음 아들 안드레이를 낳고 용감한 용사로 키우려한다. 청년으로 성장한 안드레이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학문을 배우기 위해 동생과 폴란드의 학교에 들어간다. 코사크라는 이유로 많은 배척을 받던 안드레이는 폴란드의 귀족 처녀 나탈리아를 보고 한 눈에 반한다. 두 사람이 사랑하는 사이가 되자, 이를 시기한 나탈리아의 애인인 알렉스 대위를 살해하게 되고 안드레이와 그의 동생은 탈출을 감행하여 2년만에 초원의 집으로 돌아온다. 타라스는 폴란드 제국과의 동맹 협정으로 전쟁을 반대하고 있는 족장 니콜라스를 물리치고 진군한다. 마침내 폴란드와 코사크와의 대규모 전쟁이 시작되는데, 타라스가 지휘하는 코사크는 폴란드군을 제압하고 드브르 성을 포위한다. 부상을 치료한 안드레이는 성안에 있는 나탈리아를 만나기 위해 어둠을 틈타 성안에 잠입하여 안드레이와 재회하지만, 결국 함께 잡히고 만다. 나탈리아가 화형에 처할 위기를 맞자 안드레이는 그녀를 구할 조건으로 성밖의 소떼를 끌고 올 것을 약속한다. 하지만 아버지 타라스와 마주친 안드레이는 결국 총을 맞고 쓰러진다. 이때 폴란드군은 총공격을 감행하자, 코사크는 이를 무찌르고 큰 희생 끝에 승리한다. 나탈리아는 들판에 쓰러져 있는 안드레이의 시신을 발견하고는 슬퍼한다.
통제할 수 없는 운명과 부정할 수 없는 과거에 의해 만사가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닉 카민스키(Nick Kaminsky: 케빈 앤더슨 분)의 엘더스타운 방문은 수수께끼같은 우연들의 연속인데 그 우연 모두가 닉을 욕정에서 빚어 지고 죽음으로 그늘진 운명으로 냉혹하게 내몬다. 표면상으로 그는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려고 이곳에 온 것이지만, 어려서 친엄마가 누군지 모른 채 입양된 그는 어머니가 죽음을 맞이하는 시점에 어머니를 처음 만나게 되는 것이다. 대학 동료였던 폴 케슬러(Paul Kessler: 빌 풀만 분)와의 만남은 그가 이 도시를 방문한 초점을 다른 방향으로 바꾸는데. 닉은 철재골조 건축에 관한 수권의 책을 쓴 유명한 작가로 폴이 작업을 하는 랄스 백화점의 폭파에 관심을 갖게 된다. 랄슨 백화점은 철재골조 건축의 획기적 건물이었는데, 1953년에 그 도시의 전설로 남은 치정 살인사건이 일어난 후, 줄곧 판자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 건물의 파괴에 대한 닉의 흥미를 한층 자극하는 것은 폴의 아내 제인(Jane Kessler: 파멜라 기들리 분)이었다. 그들이 제인의 생일날 처음 만났을 때 그 둘은 즉각 서로에게 매료되는데, 수십년 동안 갖힌 그건물의 무시무시한 비밀과 환상에 대한 상호교감으로 함께 묶여진 것 같았다. 그의 어머니의 삶이 그 막바지에 다달하고, 랄슨 빌딩이 허물어질 때가 가까와짐에 따라 닉과제인의 강박관념은 자라나고, 그의 방문을 둘러싼 미스테리가 얽힌 실타래 사이로 풀려가고, 과거의 죄가 부활하며, 돌이킬 수 없는 마지막 운명을 향해 치닫는데.
A man who has a talking mule gets a job on a newspaper, and both get mixed up in a murder trial.
‘서울시 신청사’ 컨셉 디자인의 최종 당선자인 건축가 유걸은 설계와 시공과정에서 제외된 채 신청사가 만들어지는 모습을 그저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서울시는 유걸을 총괄디자이너라는 이름으로 준공을 앞둔 신청사의 디자인 감리를 요청한다. 너무 늦은 합류였다. 이미 골조는 완성된 상태였고 유걸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는 않았다. 유걸은 그래도 자신이 시청사의 마감을 돌볼 수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건축가 유걸은 자신의 설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다목적홀(Concert Hall) 설계에 집중했다. 다목적홀은 시민들이 공연이나 강연을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유걸의 신청사 설계의 개념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핵심적인 공간이었다. 구청사를 가리고 있던 가림막이 철거되고 신청사에 대한 사회와 여론의 비판이 쏟아졌다. 구청사와 조화가 되지 않는 최고 흉물이라며 연일 악평에 시달렸다. 신청사를 만들고 있는 실무자들도 비판적인 여론과 완공의 압박에 시달리며 지쳐갔다. 서울시 신청사 완공까지 7년, 아무도 몰랐던 숨겨진 이야기가 시작된다.
Sylvia Kristel – Paris is a portrait of Sylvia Kristel , best known for her role in the 1970’s erotic cult classic Emmanuelle, as well as a film about the impossibility of memory in relation to biography. Between November 2000 and June 2002 Manon de Boer recorded the stories and memories of Kristel. At each recording session she asked her to speak about a city where Kristel has lived: Paris, Los Angeles, Brussels or Amsterdam; over the two years she spoke on several occasions about the same city. At first glance the collection of stories appears to make up a sort of biography, but over time it shows the impossibility of biography: the impossibility of ‘plotting’ somebody’s life as a coherent narrative.
Koolhaas Houselife portrays one of the masterpiece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film lets the viewer enter into the house's daily intimacy through the stories and daily chores of Guadalupe Acedo, the housekeeper, and the other people who look after the building. Pungent, funny and touching.
A commissioned film for Schweizerischer Werkbund (SWB), Die neue Wohnung was produced for the Basel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exhibition, WOBA, to demonstrate innovative aspects of modern architecture and highlight their differences from the event’s highly conservative approach. Despite its ad campaign roots, Richter's touch is not absent; The surviving version, aimed at a "bourgeois" Swiss public, presents decluttered, functional architecture and decor a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and luxurious "ancient" ways of living.
Diller Scofidio + Renfro has long been at the forefront of design with provocative exhibitions that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This film captures their extraordinary evolution and unique process in reimagining the public identities of Lincoln Center and the once derelict High Line railroad tracks.
In 1967, de Andrade was invited by the Italian company Olivetti to produce a documentary on the new Brazilian capital city of Brasília. Construct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50s and founded in 1960, the city was part of an effort to populate Brazil’s vast interior region and was to be the embodiment of democratic urban planning, free from the class divisions and inequalities that characterize so many metropolises. Unsurprisingly, Brasília, Contradições de uma Cidade Nova (Brasília, Contradictions of a New City, 1968) revealed Brasília to be utopic only for the wealthy, replicating the same social problems present in every Brazilian city. (Senses of Cin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