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에서 외톨이 취급을 받는 다케시는 중고 물건을 고쳐 되파는 일로 생계를 꾸리며 어머니를 모시고 산다. 어느 날, 마을 근처의 논 한가운데 있는 Y자 모양의 교차로에서 초등학교 학생 아이카가 유괴되는 사건이 발생한다. 아이카의 친구 츠구미는 아이카가 납치되기 불과 몇 분 전까지 함께 있었기 때문에 너무 괴롭고 힘든 입장이다. 12년 후 츠구미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을 시작한다. 어느 날 그녀는 마을 축제에서 다케시를 만나서 그의 힘겹고 어려운 처지를 공감하게 된다. 축제가 열린 날, 과거의 그 교차로에서 한 소녀가 실종되고 마을 사람들은 다케시를 의심한다. 절망에 빠진 다케시는 마을로 돌아가 사람들의 접근을 막으려고 집에 불을 지른다. 일 년 후 도쿄에 살고 있는 츠구미는 마을 축제 준비를 도우려고 고향에 돌아와 교차로 너머 고령의 주민들이 사는 지역에 거주하는 홀아비 양봉업자 젠지로를 만나서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을 세우지만 실패하고, 결과적으로 젠지로는 마을 사람들로부터 배척당한다. 젠지로는 점점 커져만 가는 고립감으로 인해 결국 끔찍한 범죄의 막다른 골목에 도달한다.
With violent thugs eager to make a name for themselves, the cops ask undefeated high school gang leader Shota Hirose to skip town for a year. While Shota was away, his younger friend Mikiya rose to the top and is in control of the rival high schools, but Shota does not agree with his methods.
Miki Mita
갖가지 종교에 심취한 엄마와 함께 살고 있는 어린 ‘아이(이토 사이리)’는 종교에 광적으로 빠져 있는 엄마를 떠나 종교 집단에 보내진다. 우여곡절 끝에 7년만에 집으로 돌아오지만 엄마는 여전히 무관심하고, ‘아이’는 어떤 곳에도 정착하지 못한 채 어둠의 세계로 빠져든다. 한편, ‘아이’와 같은 반 남학생 ‘료타(스가 켄타)’는 폭력과 범죄에 노출된 불량 청소년으로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놓인 ‘아이’에게 자꾸만 관심이 간다. 그저 평범한 삶과 가족을 원하는 아이와 료타는 함께 그들을 받아줄 곳을 찾아 나서기 시작하는데…
Christian Prisoner
17세기, 선교를 떠난 ‘페레이라’ 신부(리암 니슨)의 실종 소식을 들은 ‘로드리게스’(앤드류 가필드)와 ‘가르페’(아담 드라이버) 신부는 사라진 스승을 찾고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떠난다.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한창인 그 곳에서, 두 신부는 어렵게 믿음을 이어가고 있는 사람들과 마주하게 된다. 생각보다 훨씬 더 처참한 광경을 목격한 두 신부는 고통과 절망에 빠진 이들에게 침묵하는 신을 원망하며 온전한 믿음마저 흔들리게 되는데…
Seizo, a doctor, and his beautiful younger wife, Reiko. At first glance, they appear to be a respectable and amicable couple, but Seizo suspects that Reiko has a young lover. One day, the couple goes to see a new Noh play, "The Curse of Ondine," organized by a medical association. At the venue, Reiko catches the attention of a man, and even the young man at the reception desk gives her a heated look. "Reiko says, "Noh is boring," but Seizo warns her not to fall asleep, since the audience is all related. However, when the Noh play begins and Reiko looks at Seizo, she finds that he is asleep. From this point on, the world of death in the Noh play and the world of life in which the two people exist become parallel. Reality and unreality intersect as if the two are acting out a Noh play, and the secrets hidden in their daily lives begin to seep out.
Two terminally ill girls grow through their relationship as they face life and death.
Matsuoi and his wife Tsuya moved to Oshima City because of her unpredictable character. Even though Tsuya continues to have affairs, Matsuoi loves her and is a devoted husband. Tsuya is then diagnosed with a cancer and later goes into a coma. Matsuoi then thinks of his wife's lovers. Matsui goes to those men and informs them of Tatsuya's condition. The other women in the lives of those men are shocked and begin to re-examine their views of their men.
Kayoko
일본의 문화 정체성의 근원지라고 할 수 있는 아수카를 배경으로 한 우화적인 로맨스이다. 타쿠미와 카요코는 불륜의 관계이지만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살아간다. 그것은 오랫동안 아수카의 산이 간직해온 오랜 전설과 닮아있다. 한편으로는 비극이지만, 따사로운 느낌을 주기도 하는 기묘한 작품이다. (2011년 16회 부산국제영화제)
Paris, like the other metropolitan cities in Europe, was flourishing because of new crossing urbanities, while tension was born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new types of Europeans. By the year of 2030, the new races of Europeans have a chance to return to their hometown where the standard of living began to improve. In anticipating the exodus of reverse migration, LOVEME2030 wishes to defer the unfinished love stories until year 2030. Love me, not now, not here. LOVE ME when I am g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