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Nak-hoon

Lee Nak-hoon

출생 : 1936-03-28, Gyeongseongbu, Korea

사망 : 1998-10-07

약력

Lee Nak-hoon (March 27, 1936 - October 7, 1998) was a South-Korean actor.

프로필 사진

Lee Nak-hoon

참여 작품

비 오는 날 수채화 2
Kim Ui-won
천호(이경영)와 함께 고아원에서 자란 지수(김명수)는 최장로에게 입양되어 지혜(옥소리)를 사랑하지만 계부인 최장로의 반대에 부딪쳐 방황하던 중 우발적인 살인을 저질렀다. 출감한 지수는 최장로에게 지혜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을 말하지만 최장로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최장로의 바람대로 목사가 되기로 결심한 지수는 집을 떠나 서울로 향한다. 그러나 최장로는 지수가 없는 사이 지혜를 민사장의 아들 성규와 결혼시키려고 한다. 이를 따를 수 없는 지혜는 서울에서 내려온 지수와 결혼식을 올리고 첫날밤을 보낸다. 뒤늦게 사실을 알게 된 최장로는 충격으로 죽고 윤목사가 나타나 두 사람이 이복 남매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충격을 받은 지혜는 집을 나가고 지수만이 농장에서 지혜를 기다린다. 천호는 아버지가 남긴 하모니카를 가지고 전도생활을 하면서 아버지를 찾고 한편으로 지혜를 찾아 다닌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Father
시골의 작은 읍 출신의 임형빈은 서울대 법대에 합격, 고시공부에 여념이 없다. 어느날 마로니에 공원에서 마주친 여대생에게 매료된 그는 그녀의 정체를 수소문해 영문과 서윤주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저돌적인 구애작전으로 윤주의 마음을 얻어낸 형빈는 결정과 질투심으로 범벅된 감정으로 교제를 지속한다. 6.25때 부모를 잃고 언니마저 흑인병사와 결혼, 미국으로 떠나 혼자 남아 가정교사로 입주해 근근히 생활을 하고 있다는 윤주의 고백에 둘은 더욱 가까워지지만 형빈은 그녀가 처녀가 아니라는 사실에 쇼크를 받게 된다. 실의에 빠진 윤주는 이태원의 밤거리를 헤메고 그녀를 찾아낸 형빈은 그녀를 용서하고 동거생활로 들어간다. 그러나 낭만스런 대학생부부 생활도 윤주 언니의 죽음을 기화로 둘은 크게 다투고 설상가상으로 형빈 아버지의 상경에 따라 깨지게 된다. 그로부터 10년후 윤주는 한국계 미군병사와 결혼해 미국으로 가고 형빈은 재벌 기업에 입사,LA로 파견된다. 이윽고 산타모니카에서 극적으로 해후하는 두 사람.이들은 곧 결혼식을 올리고 생애에 가장 행복한 1년을 보낸다. 그러나 낭비와 향락으로 모든 재산을 탕진한 이들은 공금까지 횡령,해고된 후 뉴욕으로 옮겨 막노동을 하며 생활을 꾸려간다. 어려운 생활로 결혼도 위기를 맞게되던 어느 날,윤주는 미국인을 따라 가출, 유럽으로 도망치고 형빈도 그녀 뒤를 쫓는다. 지난번 밀월여행지였던 오스트리아 그라쯔에서 재회한 두 사람 앞에 권총 한자루가 놓여있다. 격분한 형빈은 윤주의 가슴을 향해 방아쇠를 당기는데…….
돌의 초상
도시의 한 공원에서 최노인이 죽자 강유진이 살해범으로 혐의를 받고 법정에 선다. 강유진은 이를 부인하고 어느 날 최노인의 연고자인 김여인이 나타난다. 최노인의 며느리인 김여인은 남편을 잃고 시아버지와 아이들을 데리고 재가했었다. 지성으로 시아버지를 모시던 김여인은 재혼한 남편이 가족들을 못마땅하게 여기자 최노인을 공원에 버린다. 우연히 사진작가 성민부부가 최노인을 발견하고 아파트로 데려가지만 노인이 노망기를 보이자 다시 공원에 버린다. 버려진 최노인이 쓰러져 있을 때 강유진이 노인의 시계를 빼앗으려고 하는 과정에서 노인을 숨지게 한 것이었다. 진술을 모두 들은 법정은 숙연해지고 관선 변호인은 퇴색해져가는 우리의 경로사상이 범인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킹콩의 대역습
Capt. Kim
인도네시아에서 붙잡힌 거대한 고릴라가 전시장소로 가는 도중, 선체를 탈출하고 인천 해변에 다다른다. 먼저 고릴라는 인천 해변으로부터 인천시를 휩쓸고 촬영 온 미국 여배우 마릴린을 스키장에서 사로잡는다. 고릴라의 손아귀에서 마릴린은 고릴라와 함께 서울의 한강까지 휩쓸며 지나간다. 출동해서 줄곧 고릴라를 추적하던 기동대는 모든 장비를 동원해 거대한 고릴라를 쓰러뜨린다. 쓰러지는 순간 마릴린은 킹콩에 의해 안전지대로 놓여지게 되며 불덩이가 된 킹콩은 처절한 울음으로 한강의 수심으로 가라 앉는다. 그와의 싸움은 끝났지만 마릴린은 인간의 무엇이 그를 그의 땅에 내버려두지 않았는가에 대해 생각한다.
정형미인
An obstetrician Jeon Dong-Kuk' wife gives birth to a cat baby. Taken a pessimistic view of this, he replaces the baby with a newborn baby in the hospital. Nineteen years later, developing a new remodeling technology, Dong-Kuk comes back to Korea and has his daughter's birthday party. At that time, a cat woman, Yun-Ok comes to Dong-Kuk and he undergoes a plastic operation on her face. Then, his daughter, So-Young's face turns into a cat's. When Dong-Kuk operates on Yun-Ok's face again, So-Young gets back her face. Yun-Ok tries to kill Dong-Kuk. Finally, Dong-Kuk and his real daughter Yun-Ok die together.
봄 봄
벚꽃이 피고 또 새봄은 왔건만 춘삼은 자신을 성례시켜주기로 한 봉필영감 집에서 3년째 머슴살이 중이다. 점순의 키가 크지 않을 것이라 여겨 성실한 춘삼을 몇 년 더 머슴으로 부려먹을 요량인 봉필영감은 이미 마을의 몽태를 비롯해 여러 장정을 머슴으로 써먹다 그들이 제 풀에 지쳐 달아나게 한 전력이 있다. 춘삼은 점순의 키가 안자랄까봐 무거운 물동이도 지지 못하게 하며 그녀가 자라기만을 기다리지만, 점순은 키만 크면 어른이냐며, 밤낮 우직하게 일만 하는 춘삼을 오히려 원망한다. 한편 봉필영감에게는 점순이 못지 않게 그녀를 구실삼아 실컷 머슴을 부릴 수 있었던 큰 딸이 있었는데, 머슴 중 한 남자와 함께 도망가 버린 지 오래됐다. 답답한 춘삼은 구장어른을 찾아가 자신이 성례를 치를 수 있게 도와달라고 부탁하고, 춘삼이 딱해 보인 구장어른은 자신이 시키는 대로만 하라며, 봉필 영감이 젊은 시절 그의 장인에게 써먹었던 방법을 넌지시 일러준다. 어느 날, 봉필영감으로부터 도망쳤던 점순의 언니 부부가 커다란 트럭을 타고 돌아오고, 봉필영감은 그들이 크게 성공한 줄 알며 마을 사람들에게 으스댄다. 봉필영감은 장인의 보약까지 해온 옛 머슴을 드디어 사위로 인정하고, 그가 부탁한 쌀 20가마니를 내어주지만, 곧 그가 자기 딸까지 속여가며 사기를 친 것임이 드러난다. 봉필영감은 춘삼에게 돼지를 팔아오라고 읍내로 보내놓고, 몽태에게 쌀 20가마니를 찾아오면 점순을 준다고 공약한다. 이를 듣고 점순이 울자 춘삼은 구장이 일러준 대로, 그 옛날 봉필영감이 써먹었던 방식대로, 장인의 그곳을 움켜잡고 협박을 해서 결혼 승낙을 받아내고 만다.
갈망
두 남녀가 이름도 모른 채 뜨거운 정사를 가진다. 다음 날 아침 남자는 여자가 놓고 간 귀걸이 한쪽을 발견한다. 남자의 이름은 이창열.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청년이다. 여자의 이름은 정미경.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구한구의 젊은 첩이다. 그녀는 구한구의 힘으로 학업을 마쳤고 한때 그의 비서 일을 했던 적도 있다. 그녀는 권태롭고 미래에 대한 희망도 찾을 수 없는 생활을 이기지 못해 하룻밤의 열정을 불태웠던 것이다. 하숙을 구하던 창열은 우연히 미경의 집을 소개받게 되고, 그를 몰래 훔쳐본 미경은 하숙을 치기로 결심한다. 미경은 집안에서는 창열에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밖에서는 자신이 누구인지 알리지 않은 채 창열과의 만남을 계속해서 가진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창열은 미경의 정체를 알게 되고, 그녀에게 크게 화를 내고는 취직해서 마산으로 떠난다. 한편, 구한구의 본부인 이여사는 딸 혜순를 통해서 남편의 두 집 살림을 알게 되고, 급기야 미경을 찾아온다. 그러나 이여사는 화를 내기보다는 구한구의 선거를 위해서 미경에게 자제를 부탁하고 돌아간다. 그녀는 남편의 당선을 위해서 패물을 파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자금을 마련하지만 미경을 붙잡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 있는 구한구는 그녀의 정성에 부응하지 못한다. 떠나기로 마음먹은 미경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처분하여 구한구에게 되돌려 주고, 그의 가족과 함께 이여사의 임종을 지킨다. 선거에 실패한 구한구는 창열을 만나 미경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토로한다. 미경은 창열에게 가고자 하나, 창열은 그녀를 구한구에게 돌려보낸다. 그녀를 단념했다는 거짓말과 함께.
안개
Jo Han-su
제약회사의 상무이사인 윤기준(신성일)은 회사 생활에 권태를 느끼고 있다. 그는 제약회사 사장의 딸인 과부와 결혼해 상무 자리까지 올랐다. 지쳐 있는 기준에게 아내(이빈화)는 휴식 겸 어머니 성묘도 할 겸 고향 무진에 다녀오라고 한다. 그동안 아내는 그를 전무이사로 승진시키기 위한 주주총회를 개최하도록 준비하겠다는 것이다. 바다도 농촌도 아니고 명산물이라곤 안개밖에 없는 무진에 도착한 윤기준은 병역 기피자였고 폐병환자였던 과거의 자신을 떠올린다. 박 선생(김정철)이 집에 찾아와, 둘은 윤기준과 더불어 무진 출신으로 가장 성공했다는 세무서장 조한수(이낙훈)를 만나러 간다. 조한수의 집에는 세무서 직원들과 서울에서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내려온 하인숙(윤정희)이 화투를 치고 있다. 윤기준은 하인숙에게 관심을 보이고, 그녀는 집에 돌아가는 길에 자신을 서울에 데려가 달라고 한다.
갯마을
Seong-chil
고기 잡으러 바다에 나간 배들이 돌아오지 않아 과부들만이 가득한 섬, 해순이도 과부가 된 채 시어머니와 둘이 살고 있다. 아낙네들이 갯펄에 나가 조개, 소라, 미역을 따며 생활을 이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녀도 갯펄에 나가 묵묵히 일하며 남편이 없는 쓸쓸함을 달랜다. 너무 고되게 일한 탓인지 해순은 바닷가에서 잠이 들고 이 사이에 성구에게 강간당한다. 마을에 소문이 나기 시작하자 해순은 성구를 따라 산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성구도 징용에 끌려가고 다시 혼자 남게 되자 해순은 갯마을로 돌아온다. 어디에서도 희망을 찾지 못한 해순은 미쳐서 날마다 바다가 보이는 곳에서 남편을 기다린다.
구두닦이
Oh Seok
Following the death of his parents, Yeong-cheol shines shoes in the streets, struggling to care for his sick younger sister Yeong-hui and make ends meet. Despite the persuasive efforts of low-life criminal boss Wang-cho, pickpocket Jjang-gu, and prostitute Mi-hwa, Yeong-cheol vows to lead an honest life by looking after Yeong-hui with cigarette salesgirl Myeong-sun and helping newly arrived shoeshine boy Dong-seok settle in. However, a tragic accident forces Yeong-cheol to make an important decision that may change his life. ※ Sharing the same Korean title with Vittorio De Sica’s classic Shoeshine (1946), this film was noted at the time of release for its strong neorealistic approach. All of the picture elements have been lost and only 4 original sound negative reels (around 40 minutes) survive today. The plot summary and scene descriptions have been added in the form of title cards as well as a selection of production stills to aid the viewing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