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resigning from the scientific organizations and hearing that her mother was sent to the hospital, Fang, a middle-aged woman, returns to her hometown ‘Don Hai’ with her daughter. This arrival brings back her bad memory when her father tried to cancel the ceremony in the village, and she has been blamed for being his daughter ever since.
A short film directed by Apichatpong Weerasethakul in collaboration with composer Rafiq Bhatia and the Cincinnati Symphony Orchestra.
오늘날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7인의 영화감독이 미국, 이란, 칠레, 중국, 태국에서 촬영한 영화계를 향한 러브레터다. 오랜 집에서의 새로운 삶. 분리와 재회. 감시와 화해. 끝없는 폭풍의 해를 지나며 알아볼 수 없이 변해버린 세상을 보여준다.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
A woman lies awake at night. Nearby, a set of theatre backdrops unspools itself, unveiling two alternate landscapes. Upon the woman’s blue sheet, a flicker of light reflects and illuminates her realm of insomnia.
Herself
Canadian actor and filmmaker Connor Jessup (Closet Monster, Falling Skies) profiles Apichatpong Weerasethakul, a maverick of Thai cinema who explores the slippery nature of time and consciousness with a sublimely idiosyncratic, often surreal approach to film form.
ABLAZE premiered at the 27th Singapore Film Festival, November 24, 2016
Jen
"Fever Room" features Jenjira (Jen) and Banlop (Itt), two of Apichatpong’s regular actors who also appear in his film, "Cemetery of Splendour". Like the film, this projection-performance presents the layers of reality and fantasy. Apichatpong fuses his memories with the actors’ and fictionalises the narrative. Here the people takes refuge in dreams while their land is on a brink of collapse, echoing Thailand’s present state of military dictatorship.
Jen
자원봉사자인 젠(제니이라 퐁파스)은 잠들어 있는 병사들이 있는 곳에 있다. 어느 날 옆 침대에 있는 깽을 만난 젠은 그녀가 잠든 병사들의 생각을 읽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듣게 된다. 깽과 대화를 하며 그녀의 능력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젠. 그러던 중 자신이 간호를 하던 잇(반롭 롬노이)이 깨어나고 젠은 그와 많은 대화를 나누게 된다. 하지만 곧 다시 잠이 들어 버린 잇. 젠은 그가 다시 깨어나고, 자신과 가족의 안녕을 빌게 된다. 며칠 후 병원 밖에서 간식을 들고 있던 젠에게 두 명의 여인들이 찾아온다. 그녀들은 자신들이 신들이라고 말하며 병사들이 잠들어 있는 곳은 실은 죽은 왕들의 무덤이 있는 곳이라 알려주며, 병사들이 잠들어 있는 이유는 바로 왕들이 병사들을 자신들의 전쟁에 가져다 쓰기 때문이라는 사실도 젠에 알려주게 되는데...
This film depicts Bunleua Sulilat’s temple/sculpture garden 'Sala Keoku', located in northern Thailand. Passages of blackness sporadically dissolve under the fitful internal illumination of sparklers, which light up to reveal Sulilat’s unorthodox temple populated with a fantastical concrete menagerie of beasts and figures; the sculptures range from the broad, whale-like contours of a frog’s face, to a cavalcade of dogs on mopeds, to a pair of skeletons partially embracing as if sitting for a double portrait. These images are interspersed with those of an older Thai couple mysteriously wandering around the temple like wraiths, the woman’s plodding progress hampered by the use of crutches.
Jane
태국에는 수많은 종류의 귀신이 ‘존재’한다. 폽(Pob)은 인간의 내장을 먹으며 살아가는 귀신이다. 태국과 라오스 국경을 가로지르는 메콩강 주변에서 이러한 ‘폽’의 존재는 태국인들에게 단순한 ‘전설’이 아니라, ‘존재’하는 것(혹은 그렇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은 새 영화 "엑스타시 가든"의 촬영을 위해 메콩호텔에서 리허설을 진행 중이다. "엑스타시 가든"은 ‘폽’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이 프로젝트는 실제 2002년 부산국제영화제의 PPP 프로젝트이다). 클래식 기타리스트의 연주로 시작되는 영화는 폰(Phon)과 통(Tong)의 대화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통의 어머니가 ‘폽’임을 보여주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 장면은 "엑스타시 가든"의 한 장면인가, 아니면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이 보여주고자 하는 ‘폽’의 모습인가? 아피찻퐁의 영화에서 인간과 귀신의 공존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이는 메콩강 주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하나의 문화현상이다. ‘폽’의 존재가 그토록 일상적인 것은 지난 수세기 동안 메콩강 주변에서 펼쳐졌던 잔혹한 역사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마치 아무 일도 없다는 듯이 고요하게 흘러가는 메콩강의 마지막 장면은 그 의미가 전혀 다르게 다가온다. (제 17회 부산국제영화제)
Jen
극심한 신장 질환을 앓고 있는 엉클 분미는 자신의 마지막 나날들을 시골에서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보내기로 한다. 불현듯 죽은 아내의 유령이 분미를 돌보기 위해 나타나고, 오래 전에 실종된 아들이 사람이 아닌 모습으로 집에 돌아온다. 자신이 앓는 병의 이유에 대해 생각하던 분미는 가족들과 함께 정글을 지나 언덕 위의 신비로운 동굴(분미가 처음 생을 시작했던 곳)로 향해 여정을 떠난다.
Assistant Location Manager
카메라가 천천히 폐허가 된 마을의 집들을 훑어 간다. 그중 한 집에서 젊은 병사들이 땅을 파고 있다. 그들이 뭔가를 파내고 있는지 묻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세 청년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들은 분미라는 이름의 남자에게 보내진 편지를 반복해서 읽고 암송한다. 그들은 주민들이 집을 버리고 떠난 나부아라는 작은 마을에 대해 이야기한다. 세찬 바람이 벌레 떼를 집안으로 몰고 온다. 저녁이 다가와 하늘이 어두워지고, 벌레는 흩어지고, 사람들은 침묵한다.
Morakot is a derelict and defunct hotel in the heart of Bangkok that opened its doors in the 1980's: a time when Thailand shifted gears into accelerated economic industrialization and a time when Cambodians poured into Thai refugee camps after the invasion of Vietnamese forces. It was a hosting time. Later, when the East Asian financial crisis struck in 1997, these reveries collapsed. Like Kamanita, the unchanged Morakot is a star burdened with (or fueled by) memories. Apichatpong collaborated with his three regular actors, who recounted their dreams, hometown life, bad moments, and love poems, to re-supply the hotel with new memories.
Glistening objects from a jewelry collection inspired by carnivorous plants are transformed into a colourful sea of garden creatures through hand-drawn animations of roots, insects and various other organisms. A loving tribute to Weerasethakul's mother's garden. Commissioned by Dior; first presented at Musée de l’Orangerie, Jardin des Tuileries, Paris, to mark the opening of a new set of jewellery designed by Victoire de Castellane, 27 February 2007.
The Anthem is a celebration of filmmaking and the viewing experience. In Thailand, before every cinema film screening, there will be a Royal Anthem before the feature presentation. The purpose is to honour the King. It is one of the rituals imbedded in Thai society to give a blessing to something or someone before certain ceremonies. The Anthem presents a 'Cinema Anthem' that praises and blesses the approaching feature for each screening. This audio-visual purific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hree old ladies. They also channel energy to the audience in order to give them a clear mind.
Pa Jane
이것은 '흐름'에 관한 영화이다. 외형적으로는 사랑 이야기인듯 하지만, 일반적인 영화의 관습적 형식이나, 완결된 구조 모두가 관심 밖이다. 토아는 여의사 테이를 짝사랑하고, 테이는 나초 화원의 눔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대화는 어떤 결말을 향해 달려가거나, 극적인 긴장감을 불러 일으키지 않으며, 감정의 흐름을 따라가기 위한 형식일 뿐이다. 대화를 주고받는 리듬, 그리고 공간 속을 천천히 움직이는 카메라의 움직임을 통해 흐름이 만들어진다. 이 흐름에 동참하면 관객은 색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은 이 영화를 자신의 부모에게 헌정했다.
Somjintana
'철고양이'는 트랜스젠더로 변장하고 활동하면서 그녀의 관능적인 매력을 테러리스트를 잡는데 이용하는 태국의 비밀요원. '철고양이'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신입 하녀 람두안으로 변장하여 폼피도이 부인의 성에 잠입하지만 부인의 아들인 탕을 만나 사랑에 빠지면서 그녀의 작전은 혼란에 빠지게 된다.
Orn
Min is an illegal Burmese immigrant living in Thailand who has contracted a mysterious painful rash covering his upper body. His girlfriend, Roong, and a middle-aged woman, Orn, take him to see a doctor. Min pretends that he cannot speak because he is not fluent in Thai and speaking would reveal him to be an illegal immigrant.
Janitor
Rainbow has just moved to an international school in Phuket, in Southern Thailand. She soon becomes the center of attention, since so many of her new friends are curious to know about the recent death of a student at her old school in the North. She blames it on a mysterious phone number 999-9999 a number reputed to grant whoever calls it, one wish.
Poom
이를 악무는 여인의 신음소리, 부산히 움직이는 산파들 속에서 한 아이가 울음을 터뜨리며 날숨을 쉬는 순간, 방으로 뛰어들어 온 남편 쿤 루앙 앞에서 아내 다라는 무언가 결심한 듯 마지막 숨을 몰아쉰다. 아내의 죽음과 아이의 탄생이 교차되던 그 순간부터 쿤은 자신의 아들'잔다라'를 증오하게 된다. 공직까지 내놓으며 아내의 죽음을 애도하던 쿤에게 잔다라는 아들이 아닌 사랑을 앗아간 저주받은 존재였던 것일까?... 잔다라가 커 갈수록 아이에 대한 쿤의 미움은 커져만 가고, 잔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학대와 쿤의 난잡한 성생활을 통해 자신의 출생에 무언가 비밀이 있음을 깨닫고, 쿤에 대한 복수심을 키워나간다.잔은 쿤의 경멸과 폭력을 망각케하는 애틋한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 커다란 눈망울과 수줍은 웃음으로 다가온 소녀 히아신스는 잔에게 진정한 사랑의 기쁨과 삶의 의미를 선사한다. 하지만 새엄마, 분렁 부인의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은 아버지에 대한 복수심과 맞물려 잔으로 하여금 섹스의 나락으로 빠져들게 한다.급기야 세상을 알기도 전에 잔을 경멸하는 법을 먼저 배운 이복 여동생, 카우의 거짓말로 잔은 집 밖으로 내쫓기게 된다. 그리고 잔이 집을 떠나는 날, 이모 와드는 잔에게 출생에 대한 어두운 비밀을 얘기한다. 몇 년 후, 임신을 한 카우와의 정략결혼을 위해 집으로 돌아온 잔. 쿤의 약점이 되버린 카우와의 결혼 조건으로 비자난 저택의 소유권을 거머쥔 잔은 이제 아버지가 그랬듯 섹스를 통해 아버지와 카우에 대한 복수를 시작하는데...
Krathin
In 1946, just after World War 2, bandits rule the countryside of Siam. The notorious Bai rises to become the king of bandits and police chief Yodying has been ordered to apprehend Bai dead or alive.
Film inspired by two things: an article written by a Thai woman who went Sri Lanka on a religious pilgrimage by climbing a holy mountain and sci-fi author Arthur C. Clarke's 'The Fountain of Paradise' which sets in a fictional land based on a Sri Lankan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