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ic Poirier

참여 작품

빈즈
Costume Design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1990년 오카 위기라고 알려진 무장 대치 기간 동안 빠르게 성장해 전사가 되어야 하는 청소년기의 한 모호크 소녀에 관한 이야기이다. (2021년 제9회 서울구로국제어린이영화제) 프로그래머 노트 캐나다의 모호크 족이 골프장 건설에 저항하며 대규모 충돌이 일어나고, 이는 곧 심각한 인종 간의 갈등으로 번진다. 빈스는 가족 모두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며 성장한다. 영화는 당시의 실제 상황을 담은 뉴스 영상을 교차하는 방식으로 빈스의 이야기 속에 역사적 기록을 함께 담았다. (2021년 제16회 부산국제어린이청소년영화제 / 박정민)
Ouroboros
Costume Designer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a lonely man conceives a twisted plan to fulfill his desire to have a child.
살인 청바지
Costume Design
영화의 배경은 캐나다의 의류 매장. 새로 들어온 리비는 신나게 팀에 합류해 일하는 요령을 익힌다. 하지만 회사 사람들은 하나같이 자신만 챙길 뿐 남은 신경 쓰지 않는다. 회사에서는 모든 사람의 신체 치수에 꼭 맞춰 주는 ‘슈퍼 셰이퍼’ 청바지를 출시하게 되는데, 자아를 가진 이 청바지들 때문에 낭자한 피와 잘린 팔다리와 동강 난 몸이 곳곳에서 발견된다.
여기가 천국
Costume Designer
팔레스타인을 떠나 제2의 터전을 찾고 싶었던 일리야 술레이만 감독은 자신을 따라다니는 팔레스타인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버릴 수 없음을 알게 된다. 새로운 삶을 향한 그의 열망은 이 영화에서 실패를 자조하는 희극으로 전환된다. 술레이만 감독은 파리, 뉴욕 등 세계 대도시를 다니며 제작자들에게 서툴게 자신의 ‘팔레스타인’ 영화를 설명하고 무표정한 얼굴로 거리를 응시하는 자신의 페르소나를 연기한다. 영화 속 술레이만은 팔레스타인 사람이면서 극중 인물의 말처럼 ‘충분히 팔레스타인 사람 같지 않은’ 존재로 어느 곳에도 섞이지 못한다. 감독은 어눌해 보이기도 하고 현자 같기도 한 또 다른 술레이만의 눈을 통해 세상과 팔레스타인의 현재 모습을 풍자적으로 보여준다.
No Tomorrow: A Turbo Kid Tale
Costume Design
This short story is a prequel to our favorite friendship unit, Apple. Follow her in her adventure from the other side of the Wasteland, right before her memorable encounter with the Kid!
터보 키드
Costume Design
1997년 종말이 닥친 후의 세계. 키드는 폐품을 물과 교환하며 살아간다. 물 공급을 독점해 권력을 누리는 제우스에게 친구가 잡혀가고 키드는 만화책 속 영웅들의 용기를 끌어모아 그를 응징한다. 의 포스트 아포칼립스적 배경과 80년대 B급 SF영화, 고어물의 영향이 뒤섞인 장르의 종합선물세트, 는 보는 내내 재미와 감탄, 그리고 폭소를 연발케 할 에너지 넘치는 영화이다.
Roberta
Costume Design
Housewife and grandmother Roberta struggles to fit the conformist society she lives in and turns to amphetamines to cure her boredom.
Anatomie
Costumer
A white room. The aging bodies of actors Gilles Pelletier and Françoise Graton testify to a love that has triumphed over time and a captivating lover's dialogue emerges between two octogenarian bodies defying inertia, old age and death. With music by the group Forêt, this sensuous short film depicts the tremblings of desire and the most elemental components of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