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
Philippe is a middle-aged painter, he lives with Annie : they have two kids. Just after they split up, Philippe meets Justine. He starts thinking about lov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er lovers..
Editor
The ex-gymnast and survival artist Emil falls in love with the prostitute Lissy. Through her he meets some criminals whom he can help thanks to his gymnastic skills. But on his rise in the criminal hierarchy, Lissy might fall by the wayside.
Editor
For those who were young, living under the delusions of love and soft drugs in Paris, May 1968 - even if the guitar is still playing, they can't hear it any longer.
Editor
The familiar conflicts of a film director planning to make a movie about his life and the confrontation he has with his wife, an actress who was turned down for such project in which she wanted to play herself.
Editor
Philippe Garrel’s documentary on France’s second wave of masterful filmmakers. Featuring Jean Eustache, Chantal Akerman, André Téchiné, Leos Carax, Jacques Doillon and Benoit Jacquot.
Editor
1920년,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 병역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위골랭 스베랑은 백부 세자르 빠뻬 스베랑의 집 근처에 정착한다. 위골랭은 카네이션 재배에 꿈을 갖고, 시험 재배를 한 다음 백부에게 보여준다. 백부인 세자르는 그의 계획에 동의하고, 투자하기로 한다. 그러나 자신의 땅에는 물이 없음에 불만인 위골랭은 인접한 카모완 가(家)의 토지에 샘이 있음을 알고 간독하고 음흉스런 지주 세자르와 음모를 짜고 그 땅에서 솟아나는 샘물을 막아버린다. 이때부터 샘을 배경으로 한 3대에 걸쳐 사랑과 숙명의 역사가 시작된다. 땅에서 솟아나는 샘물을 막아버린 그들은 그 땅을 싸게 사려는 속셈이었다. 이때, 그 땅의 주인이자 한때는 세자르의 연인이기도 했던 플로레트가 얼마 전에 죽어 그녀의 아들인 쟝에게 물려진다. 자신의 아들인지도 모르는 세자르는 쟝이 도시 사람에다 곱추이므로, 분명 땅을 팔려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쟝은 아내 에이메와 딸 마농을 데리고, 프로방스로 이사를 온다. 이에 위골랭과 빠뻬는 물이 없어 오래 견딜 수 없을 것이란 걸 알고 친절하게 대해준다. 샘에 대한 것은 비밀로 한 채 쟝의 가족의 그런 정성이 하늘에 통했는지, 적절할 때 비가 내려줘 그의 첫 농작은 그런 대로 성공인 셈이었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은 계속 쟝을 따돌렸고 위골랭은 위선적인 행동을 한다. 가뭄이 계속되고 쟝은 마지막 수단으로 땅을 위골랭에게 저당잡히고, 우물을 파려한다. 다이너마이트로 암벽을 폭파하던 중에 그만, 낙석에 뇌척수를 맞아 죽고 만다. 위골랭은 자신의 행동이 결국 쟝을 죽게 했다는 가책하나, 그것은 잠깐의 감정일 뿐, 에이메와 딸 마농이 집을 떠나려하자 위골랭과 빠뻬는 막았던 샘을 도로 트는데, 마농이 그 장면을 보고 경악한다.
Editor
15세 소녀인 수잔은 이 남자 저 남자와 동침을 하지만 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는다. 어느 날 아버지가 갑자기 집을 나가버린 후, 어머니의 신경증은 더 심해지고, 오빠인 로베르는 모든 것을 수잔의 탓으로 돌리며 그녀를 때린다. 사랑을 찾지 못하는 소녀의 고통스러운 성장을 가족의 문제 속에서 그려내고 있는 가슴아픈 영화
Editor
'대학부터 붙어라'는 아이가 좀 더 많은 자유를 원할 때 부모들이 하는 전형적인 훈계다. 이 영화에서 이 훈계는 매우 아이러니하게 사용되고 있다. 피알라는 졸업과 미취업 사이의 암울한 시기에 진입한 몇몇 고등학생들을 통해 이른바 ‘블랭크 제네레이션’의 하위문화를 깊이 있는 통찰력으로 묘사한다.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Editor
Madame Rosa lives in a sixth-floor walkup in the Pigalle; she's a retired prostitute, Jewish and an Auschwitz survivor, a foster mom to children of other prostitutes. Momo is the oldest and her favorite, an Algerian lad whom she raises as a Muslim. He asks about his parents; she answers evasively. As she ages and takes fewer children, Momo must do more for her; as money is tight, he tries to earn pennies on the street with a puppet. He's a beautiful man-child, and Madame Rosa makes him promise never to sell himself or become a pimp. A film editor, Nadine, befriends him, and his father appears as well. Madame Rosa reaches her last days in fear of hospitals, and Momo must act.
Editor
The wife of an extremely jealous merchant is held hostage by a bank robber.
Editor
Claude and Isabella met on a beach one summer and got easily involved. But while he has dreams of settling down with a family, she just wants to have fun. When Isabelle becomes pregnant, Claude is advised by both families to marry but things get more complicated when he meets an English woman.
Editor
Ten young people (six boys and four girls), most of whom students, rent a house in bad repair and set about living together. The experience is not obvious and the ten tenants have to cope with more than one difficulty. But they also have their moments. Things really go awry when Françoise, an unmarried girl, is forced to deliver the baby she carries prematurely and when Solange, the lonely girl of the group, attempts suicide. Shortly afterwards, the group learns that the house is due for demolition. They decide to take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to face adult life individually.
Editor
끌로드 베리 감독의 유년시절 경험이 반영된 작품. 2차 대전 막바지의 프랑스, 반복되는 독일의 공습을 피해 유대인 부부는 자신의 아들을 전쟁 기간 동안 프랑스의 시골 마을로 피신을 보낸다. 소년은 자신이 유대인임을 숨기고 노부부 밑에서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리며 지낸다. 이렇게 반유대주의자 할아버지(미셸 시몽)와 유대인 소년의 따뜻한 동거 일기가 시작된다.
Editor
A sexually repressed school teacher releases her pent up passions in a series of shocking cr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