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or
This film is composed of images collected then scratched, colored, scratched, etc. which have no direct or indirect relation with the sound column. As in almost all Lettrist films, sound comes first over image. 16mm / color / sound
Debord directed his first film, "Hurlements en faveur de Sade" in 1952 with the voices of Michele Bernstein and Gil Holman. The film has no actual images; instead, it shows bright white when there is speaking and black when there is not. Long silences separate speaking parts. The film ends with 24 minutes of black silence.
Daniel
이시도르 이주가 만든 실험영화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는 레트리즘 영화선언문을 이룬다. 이주는 관객을 속이는 영화 관습을 부정하며 영상과 음향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영화에 대한 구상을 비롯한 몇 가지 새로운 생각을 제시했다. 또한 필름 자체에 스크래치를 내거나 의도적으로 색을 바래게 만드는 '손상 기술'도 고안했다. 1951년 칸느 영화제에서 격렬한 논란을 일으킨 이 영화는 후에 미국에 소개되어 아방가르드 영화감독 스탠 브래키지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장 이시도르 이주는 단편소설, 시와 에세이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출간한 작가였다. 또한 레트리즘 운동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이주는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사진을 찍고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 연기를 하기도 했다. 이주가 "영화에 맞선 반란"을 언급한 이 작품에서 그는 영화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이며 그가 생각하기에 영화란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인지 예를 보여주려 했다. 스탠 브래키지는 이 영화를 수 차례 보고 자신이 강의하는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지극히 형식적이고 정제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작품"이라 평했다. 이 영화가 예술적인 표현을 대변하는지 아닌지는 관객 판단의 몫으로 남게 될 것이다. 장 콕토가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도약의 발판인가? 혹은 회피에 불과한가" 라고 물었듯이 말이다. 50년 내에 우리는 이에 대한 답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바그너가 어떻게 물러났는지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그의 분노에 아무도 맞서지 않는다. 이주의 양식이 유행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그 누가 알랴?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는 칸느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는데 소요를 불러일으켰고 호스가 장내에 투입되어야만 했다. 이 영화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예술영화 상영관에서 시사회를 가졌고 또 한 번 소요사태를 불러일으켰다. 브래키지와 로버트 던컨을 비롯한 다른 예술가들은 로마 카톨릭 사제가 관객에게 이 영화가 프랑스 데카당스에 불과하다 경고하기 위해 불려
Writer
이시도르 이주가 만든 실험영화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는 레트리즘 영화선언문을 이룬다. 이주는 관객을 속이는 영화 관습을 부정하며 영상과 음향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영화에 대한 구상을 비롯한 몇 가지 새로운 생각을 제시했다. 또한 필름 자체에 스크래치를 내거나 의도적으로 색을 바래게 만드는 '손상 기술'도 고안했다. 1951년 칸느 영화제에서 격렬한 논란을 일으킨 이 영화는 후에 미국에 소개되어 아방가르드 영화감독 스탠 브래키지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장 이시도르 이주는 단편소설, 시와 에세이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출간한 작가였다. 또한 레트리즘 운동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이주는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사진을 찍고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 연기를 하기도 했다. 이주가 "영화에 맞선 반란"을 언급한 이 작품에서 그는 영화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이며 그가 생각하기에 영화란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인지 예를 보여주려 했다. 스탠 브래키지는 이 영화를 수 차례 보고 자신이 강의하는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지극히 형식적이고 정제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작품"이라 평했다. 이 영화가 예술적인 표현을 대변하는지 아닌지는 관객 판단의 몫으로 남게 될 것이다. 장 콕토가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도약의 발판인가? 혹은 회피에 불과한가" 라고 물었듯이 말이다. 50년 내에 우리는 이에 대한 답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바그너가 어떻게 물러났는지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그의 분노에 아무도 맞서지 않는다. 이주의 양식이 유행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그 누가 알랴?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는 칸느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는데 소요를 불러일으켰고 호스가 장내에 투입되어야만 했다. 이 영화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예술영화 상영관에서 시사회를 가졌고 또 한 번 소요사태를 불러일으켰다. 브래키지와 로버트 던컨을 비롯한 다른 예술가들은 로마 카톨릭 사제가 관객에게 이 영화가 프랑스 데카당스에 불과하다 경고하기 위해 불려
Director
이시도르 이주가 만든 실험영화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는 레트리즘 영화선언문을 이룬다. 이주는 관객을 속이는 영화 관습을 부정하며 영상과 음향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영화에 대한 구상을 비롯한 몇 가지 새로운 생각을 제시했다. 또한 필름 자체에 스크래치를 내거나 의도적으로 색을 바래게 만드는 '손상 기술'도 고안했다. 1951년 칸느 영화제에서 격렬한 논란을 일으킨 이 영화는 후에 미국에 소개되어 아방가르드 영화감독 스탠 브래키지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장 이시도르 이주는 단편소설, 시와 에세이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출간한 작가였다. 또한 레트리즘 운동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이주는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사진을 찍고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 연기를 하기도 했다. 이주가 "영화에 맞선 반란"을 언급한 이 작품에서 그는 영화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이며 그가 생각하기에 영화란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인지 예를 보여주려 했다. 스탠 브래키지는 이 영화를 수 차례 보고 자신이 강의하는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지극히 형식적이고 정제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작품"이라 평했다. 이 영화가 예술적인 표현을 대변하는지 아닌지는 관객 판단의 몫으로 남게 될 것이다. 장 콕토가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도약의 발판인가? 혹은 회피에 불과한가" 라고 물었듯이 말이다. 50년 내에 우리는 이에 대한 답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바그너가 어떻게 물러났는지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그의 분노에 아무도 맞서지 않는다. 이주의 양식이 유행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그 누가 알랴?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는 칸느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는데 소요를 불러일으켰고 호스가 장내에 투입되어야만 했다. 이 영화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예술영화 상영관에서 시사회를 가졌고 또 한 번 소요사태를 불러일으켰다. 브래키지와 로버트 던컨을 비롯한 다른 예술가들은 로마 카톨릭 사제가 관객에게 이 영화가 프랑스 데카당스에 불과하다 경고하기 위해 불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