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uction Design
Costume Design
1988년 러시아. 일라나는 아버지의 정비소에서 일하며 가족의 생계를 돕고 있다. 오빠 다비드의 약혼을 축하하기 위해 가족과 친구들이 모였던 그 날 밤, 다비드 커플이 납치되고 범인은 몸값을 요구한다. (2018년 제19회 전주국제영화제)
Costume Design
Costume Design
진리추구를 지상 최대의 목표로 삼은 박사 파우스트. 인간의 근원을 파악하겠다며 인체 해부도 마다 않지만, 그가 얻은 것은 극심한 생활고뿐이다. 어느 날 돈을 마련하고자 전당포를 비롯한 마을 이곳 저곳을 어슬렁거리던 중, 파우스트는 신비한 처녀 마가레테와 맞닥뜨리고, 그녀의 아름다움에 완전히 매료되고 만다. “어떡하면 마가레테를 가질 수 있지?” “여기 서명만 하면 그녀는 당신 것이오!” 강렬한 욕망에 사로잡힌 파우스트에게 유혹의 순간이 찾아온다. 대금업자 뮐러가 그에게 처녀와 하룻밤을 보내게 해줄 테니 영혼을 달라고 제안한 것이다. 파우스트는 한 치의 망설임 없이 제안을 수락하는데… 당신이라면 이 치명적인 유혹 앞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Costume Design
Elderly Aleksandra visits her Russian soldier grandson, Denis, at the Chechen war front, providing comfort as she tours his army. All the while, Denis ponders the reason for her unexpected appearance.
Costume Design
어느 영화 감독이 한순간 마술처럼 18세기 초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주 궁으로 가게 된다. 어느 누구도 감독을 보지 못하지만, 오로지 검은 옷을 입은 남자만이 감독을 본다. 검은 옷의 남자는 19세기에서 온 프랑스 외교관이였다. 감독과 외교관은 격동의 러시아 한가운데에서 놀라운 역사의 현장을 목격한다.
Costume Design
Unfolding over two days in 1924, the film depicts the dying Lenin, world revolutionary and father of the USSR, now powerless and isolated at his Gorki estate. Cared for by his wife, Nadezhda Krupskaia, sister Maniasha, his German doctor and several attendants, Lenin raves about his diminishing faculties, discusses the deaths of great figures (including Marx), rides a car to a picnic in a meadow and ponders his historic legacy.
Costume Design
In 1942 Bavaria, Eva is alone, when Adolf arrives with Josef, his wife Magda, and Martin to spend a couple of days without politics.
Costume Design
Costume Design
During the main withdrawal of troops from Afghanistan, a company of hardened paratroopers under the command of Major Bandura are joined by Steklov, the son of a high-ranking officer.
Costume Design
거리를 떠돌던 개 ‘샤릭’이 외과의사 ‘쁘레오브라젠스키’에 의해서 부랑자의 뇌와 생식기를 이식 받음으로써 인간 ‘샤리코프’로 변형되어 가는 과정을 그린 소설을 영화화 한 작품이다. 개를 인간으로 변형 시킨다는 다소 부 자연스런 설정이 볼셰비키 혁명을 빗댄 것이라는 작가의 의도가 숨겨져 있다고 하는데 그 시대적인 배경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이야기의 과정을 통해 다른 의미들을 발견할 수 있다. 수술로 인해 개가 인간으로 변형이 되어 가고 있지만 천성적인 습성과 그리고 새로 이식된 부랑자의 습성의 혼돈, 불완전함이라는 전제하의 무례함과 뻔뻔스러움, 사회성 결여 등이 극중의 샤리코프에게 반면교사되는 관객의 입장에서 결코 자유스러울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거장과 마르가리타’, ‘백위군’, ‘개의심장’, ‘조야의 아파트’ 등 몇 작품이 소개된 불가코프는 1930년 대 극작가이자 소설가다.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후 러시아는 백위군과 적위군 사이의 내전에 시달렸는데 키예프의 중류층태생의사였던 불가코프도 백위군에 가담해 싸운 전력이 있다. 불가코프는 반동세력으로 간주되었고 그의 작품들 역시 당 이념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수히 검열에 걸려 좌절하곤 했다. 실제로 그의 작품들 태반이 소비에트 시절에는 출판금지 대상이었고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걸작 ‘거장과 마르가리타’ 역시 불가코프 사후 30여년이 지나서야 빛을 볼 수 있었다. 이율배반적이었던 스탈린은 남몰래 ‘반동 작가’ 불가코프의 재능을 아꼈다. 그래서 불가코프는 ‘조야의 아파트’나 ‘위선자의 밀교’ 등 다분히 체제 고발적이고 풍자적인 희곡을 무대에 올릴 수 있었지만 쏟아지는 비난 탓에 공연은 곧 막을 내려야 했다.
Costume Design
A story about an orphan boy, abandoned by his family. He was raised by his kind adopted mother, and was sold by his adopted father in hardship to a traveling man who eventually, became his teacher and a father-figure. With his teacher, he learned to play music and perform on the street with 3 intelligent dogs and a monkey. He traveled through the towns of France, and through life twist and turn, eventually, lead to the ultimate search for his real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