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y Lampson

Mary Lampson

프로필 사진

Mary Lampson

참여 작품

Below the Belt
Editor
A groundbreaking film examining the challenges people with endometriosis are facing. There is no known cure for this disease and often patients undergo several surgeries in hope of some relief.
크립 캠프: 장애는 없다
Co-Editor
우리는 모두 평등하다. 행진하라. 장애를 가진 10대들이 여름 캠프에서 혁명을 일으킨다. 평화와 반전의 상징인 우드스톡 인근에서. 그날 이후, 아이들의 인생이 움직인다.
트루스 오어 칸서퀸스
Editor
Truth or Consequences is a speculative documentary about time and how we weave the past into the present and our possible future. Set in the small desert town of Truth or Consequences, New Mexico, the film takes place in the shadow of a nearby Spaceport and the commercial exploration of space. Through the lives of the people in town and a filmmaker from the future, the film explores progress, echoes of history, and how we each navigate a sense of loss, within ourselves and within a changing world.
The Unafraid
Additional Editing
Follow the four-year odyssey of three young immigrants in Georgia in this powerful observational documentary portrait of what it means to grow up in the United States as an undocumented (but fully DACAmented) American.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Editor
동명의 책을 기반으로 만든 다큐멘터리다. ‘우리가 먹는 달걀, 유제품, 고기는 다 어디서 오는 걸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영화는 지난 40년간 인간이 식품을 먹는 방식이 어떻게 환경을 오염시키고, 건강을 위협하고 동물들을 가학적으로 대했는지 담아내며,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전통적인 농업과 축산업의 방식을 낡고 오래된 것이 아닌, 지속가능한 미래지향적인 방식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Maribor Uprisings
Editor
Equal parts film, conversation, and social experiment, this interactive documentary uses footage shot by activists in the crowd of the Maribor uprisings, a 2012 to 2013 Slovenian protest, to pull you into the fray, where you must collectively decide what happens next.
나쁜 아이는 없다
Editor
는 소위 ‘불량 청소년’들이 다니는 대안학교 ‘블랙 락’ 고등학교(Black Rock High School)의 일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다. 극적인 어떤 사건을 소재로 삼거나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라며 훈훈하게 끝나는 대신, 변화무쌍한 하루하루를 지켜보는 게 전부다. 학교와 아이들의 목표는 고등학교 졸업인데, 그 역시도 쉽지 않다. 미성년의 나이에 가족을 부양하는 책임감, 어려서부터 배운 것이라고는 마약에 찌든 부모의 무기력함, 죄책감과 수치심 등은 끊임없이 아이들을 흔들고 인생을 포기하도록 내몬다. 이렇게 반복되는 빈곤의 대물림을 교육만이 끊을 수 있다고 믿는 교사들은 아이들에게 말한다. “네가 살고 싶은 삶은 어떤 거니?”, “괜찮아. 잘하고 있어”, “할 수 있어”, “도와줄게”. 세상에 나쁜 아이는 없다. 나쁜 것이 있다면 빈곤, 그리고 우리의 무관심이다. 아이들의 노래와 연주, 댄스가 황량한 모하비 사막을 채우고 영화의 메시지가 관객들의 마음을 울린다. 시사성과 시적인 영상미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올해 선댄스영화제 미국 다큐멘터리 베리테 부문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2016년 제13회 서울국제사랑영화제/김지혜)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Editor
이 영화는 기후변화 최전선에 있는 7개의 커뮤니티에 대한 강렬한 초상화이다. 개별적인 이야기를 하나로 엮어주는 것은 탄소배출과 경제시스템의 관계를 보여주는 나오미 클라인의 내레이션이다. 이 영화에서 클라인은 그녀의 가장 논쟁적이면서도 흥미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기후변화의 존재론적 위기를 이용해 실패한 경제시스템을 훨씬 더 나은 시스템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Kimjongilia
Editor
The first film to fully expose the humanitarian crisis of North Korea, this stylish, deeply moving documentary is centered around astonishing interviews with survivors of North Korea's vast and largely hidden prison camps, and interspersed with archival footage of North Korean propoganda films and original art performances.
Taking Root: The Vision of Wangari Maathai
Editor
This documentary provides a window into the extraordinary life of activist and Nobel Laureate Wangari Maathai, a Kenyan woman who has worked to regain ownership of her country and its fate after years of colonialism. While gentle and thoughtful, Maathai carries a powerful message: the First World holds much of the responsibility for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truggles of the developing world.
타운 블러디 홀
Sound
Norman Mailer and a panel of feminists — Jacqueline Ceballos, Germaine Greer, Jill Johnston, and Diana Trilling — debate the issue of Women's Liberation.
할란 카운티 USA
Editor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요람이자 부의 상징인 미국 한가운데에 불과 삼십년 전까지만 해도 하수도 시설조차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열악한 환경의 마을이 있었다고 한다면 과연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이 거짓말 같은 사실은 미국 켄터키주의 탄광지역 할란 카운티에서 실재했던 상황으로, 이는 근 1세기 이상 광산자원과 노동시장의 독점을 통해 일방적인 노동관계를 행사해온 거대 광산자본과 광부들간의 불균형적인 고용관계의 불가피한 결과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할란 카운티의 광부들은 부당한 노동과 주거환경을 타파하고자 전미광업노조에 가입을 결정하게 되고 고용주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무자비한 방해공작을 펼치는데, 이 과정에서 벌어진 광부들의 파업은 현대 미국 노동운동의 이정표적인 사건이 되었다. 그리고 바버라 코플의 기념비적인 다큐멘터리 를 통해 오늘날까지 생생한 연대기로 남았다. 바버라 코플은 이 작품을 통해 광부들의 파업이 노동과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단순한 노동운동의 차원을 넘어 수세기간 이어져온 미국 광산산업의 역사적 모순과 탄광촌 사회의 문화가 투영된 상징적 사건임을 기록영화의 내러티브를 통해 과감히 정리해낸다. 수년간의 근접 참여를 통해 얻어낸 냉정하고 정확한 촬영기록과 세밀하고 공고한 편집에 광부들의 전통 음악인 블루그래스를 배경음악으로 더해 휴머니즘의 시선을 유지한 기록영상물로서의 치열한 방법론을 완성해낸 는 곧바로 미국 아카데미 장편다큐멘터리 부문에서 수상했고, 오늘날 기록영화의 현대적 전범으로 평가받고 있다. 발표 30주년을 맞아 복원작업을 거친 는 크라이테리언 컬렉션을 통해 DVD로 발매되었다. 지난날 열악한 화질로 감상할 수밖에 없었던 것을 보상이라도 하듯, 아나모픽으로 깔끔하게 처리된 화면은 발표 당시의 생생함을 느낄 정도로 기록영상의 생동감을 가감없이 전달하고 있다.
Underground
Editor
Underground is a 1976 documentary film about the Weathermen, founded as a militant faction of the 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 who fought to overthrow the U.S. government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film consists of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group after they went underground and footage of the anti-war and civil rights protests of the time. It was directed by Emile de Antonio, Haskell Wexler and Mary Lampson, later subpoenaed by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in an attempt to confiscate the film footage in order to gain information that would help them arrest the Weathermen. (Wikipedia)
Underground
Director
Underground is a 1976 documentary film about the Weathermen, founded as a militant faction of the 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 (SDS), who fought to overthrow the U.S. government during the 1960s and 1970s. The film consists of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group after they went underground and footage of the anti-war and civil rights protests of the time. It was directed by Emile de Antonio, Haskell Wexler and Mary Lampson, later subpoenaed by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in an attempt to confiscate the film footage in order to gain information that would help them arrest the Weathermen. (Wikipedia)
Millhouse
Editor
Emile de Antonio's film decimates Richard Nixon and exposes him as a paranoid, power mad lunatic... de Antonio compiles (via video and film) what amounts to the "best of" one of the worst political figures of the 20th century. Nixon was a shameless self-promoter while trying desperately to convince everyone that he wasn't. Through Alger Hiss and the "Checkers" speech to the character assassination of Helen Gahagan Douglas (among others), there are few stones left untur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