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Mistru Hanušovi (1977)
장르 : 애니메이션
상영시간 : 13분
연출 : Garik Seko
각본 : Kamil Pixa, Milada Kučerová
시놉시스
One of the film stories based on the old Prague legends. This one is about the old master clock maker Hanus who construed the Prague Old Town astronomical clock. Master Hanus' clock started working for the first time in 1490 but did not tell the time for too long. Soon the master, blinded by the perfidious town councilors, stopped it for more than 200 years.
휴가를 맞아 여행을 떠난 5명의 친구는 숙소로 빌린 깊은 산 속에 있는 집을 찾아간다. 낡은 집에서 여장을 푼 일행에게 밤이 되자 집 안에 점차 이상한 현상들이 일어난다. 이들은 지하실에서 녹음이 된 테잎을 발견하게 되고 무심코 이걸 재생해 보는데...
파리에 있는 하원 도서관에는 세계사에서 가장 특별한 문서 중 하나인 잔 다르크를 죽음으로 이르게 한 바로 그 재판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재판관들의 질의와 잔 다르크의 대답들이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그 기록을 읽어보면, 갑옷을 입은 그녀가 아닌 조국을 위해 죽어간 평범하고 인간적인 한 젊은 여자로서의 잔 다르크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우린 그리스도교 정통파 신학자들과 권세 있는 재판관들에 맞선 젊고 독실한 한 여성에 관한 경이로운 드라마의 목격자가 된다. 정치적인 함정에 빠진 잔다르크는 신의 메신저로서 남자의 옷을 입었다는 진술을 취소하지 않으면 사형 당할 처지에 놓이게 되고, 마침내 화형대의 불길에 의해 삼켜지고 만다.
타타르 제국의 침략을 받은 15세기 러시아의 수도사 안드레이, 다닐, 키릴은 일을 찾아 수도원을 떠나는데, 떠돌아다니던 그들은 전쟁과 약탈, 강간과 살인 등 참혹한 현실과 만난다. 그들은 마침내 성상화의 대가 테오판을 만나게 되고, 테오판은 우직한 안드레이를 제자로 선택한다. 그러나 안드레이는 수도원 밖의 현실, 용서와 구원에 대한 내적 갈등으로 더 이상 벽화를 그릴 수가 없다. 격정의 15세기 미술계의 아이콘이었던 안드레이 루블로프의 삶을 그린 영화.
‘삼위일체’로 유명한 15세기의 성상화가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인생과 고뇌를 그린 타르코프스키의 두 번째 장편으로, 9개의 에피소드가 연결된 프레스코 구조를 지닌다. 역사의 기록에만 몰두하며 순수 예술가로 남을 것인지 아니면 정치와 시류의 흐름을 쫓아 갈 것인지를 두고 고민하는 종교화가의 안드레이 루블로프의 고뇌를 통해 예술의 본질 탐구와 동시에 당시의 사회상을 꼬집은 수작으로, 침략 전쟁, 기아, 질병에 고통받는 러시아 민중의 삶을 배경으로 '예술이란 무엇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묻고 있는 이 영화는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작품 중 가장 '역사'에 가깝게 다가서고 있다. 여러 개의 에피소드들이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레스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마치 거대한 프레스코 벽화를 보는 듯한 웅장한 느낌을 준다.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는 의 감독 콘찰로프스키와 사석에서 대화하던 중에 신비의 베일에 싸여있던 15세기의 성상 화가 루블레프에 매력을 느껴 영화화할 것을 결심했다고 전한다. 공개 당시 당국의 정책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서쪽 바다로 항해하면 인도에 도착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에스파냐 왕국으로 이민 온 이태리 출신 탐험가 콜럼버스. 그는 어린 아들 페르난도를 데리고 바다를 바라보다가 지평선 너머로 사라지는 배의 모습을 보고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라는 확신을 가진다. 지구는 평평한 땅이라 끝까지 가면 지옥으로 떨어질 것이며 그곳에는 괴물이 살고 있다는 공포와 미신이 난무했고 기존의 권리와 질서를 유지하려는 귀족들의 탁상공론까지 콜럼버스의 제안에 제동을 건다. 그러나 이자벨 여왕은 콜럼버스의 계획을 지원하여 1492년, 드디어 산타마리아 호를 비롯한 3척의 배로 항해를 시작한다. 극심한 공포와 난관을 헤치면서 예정의 2배가 넘는 2개월여 동안 서쪽으로 항해하던 콜럼버스 일행은 태초의 모습을 간직한 과나하니 섬을 발견하고 그곳을 인도의 일부라 생각하고 식민지로서 개척한다. 본토 대륙을 발견하기 위하여 2번째 항해를 한 콜럼버스는 서인도 제도에 민주적이고 이상적인 신세계를 건설하던 중 시련이 닥친다. 원주민과의 갈등과 동행한 귀족 목시카의 반란과 더불어 불어닥친 허리케인으로 그의 신세계는 황폐화되는데...
아직 문명화되지 않은 시절, 인간들에게 최우선 순위는 바로 생존이며, 그들 세계의 법은 하나, 강한 자가 모든 것을 차지하게 된다. 돌 부족의 족장인 아크호바와 그의 두 아들 사카나, 투막. 그들 사이에 사랑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 결국 투막은 아버지에 의해 추방당하여 방랑을 하게 된다. 그러던 중 선진 문명을 지닌 부족을 만나 합류하고 함께 공룡을 무찌르나 그를 질투하는 부족원들에 의해 싸움에 휘말려 그 부족의 일원인 로아나와 투막은 광야로 추방당한다. 그들은 투막의 부족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하고, 돌 부족에게 선진 지식을 전수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로아나는 익룡에게 잡혀가고 투막은 그녀를 구하기 위해 길을 떠나는데...
15세기 영국, 리차드 2세가 죽고 헨리 4세가 왕위에 오르지만 왕권은 불안하고 왕자 헨리는 건달 폴스타프와 어울리기에 바빠 정치엔 관심이 없다. 헨리 4세가 반란을 진압하고 사망에 이르자, 헨리 왕자가 헨리 5세에 취임한다. 폴스타프는 출세할 기회라고 생각하여 달려오지만 왕은 냉정하게 그를 외면하는데...
1950년대 말에 미국이 금성에 유인 우주선을 쏘아 올린다. 우주선은 지구로 돌아오다 유성에 맞아 시칠리아 섬 근방에 추락한다. 살아남은 건 로버트 콜더 대령과 그가 가지고 온 금성 생물의 견본 뿐. 지구 대기에 비정상적으로 반응해서 엄청난 크기로 성장한 금성 괴물은 로마 시내를 쑥대밭으로 만드는데.. (puredew114@naver.com) 참고사항. 영화 전체를 통해 단 한 번도 이름이 언급되지 않는 금성 괴물. 그게 아쉬웠는지 나중에는 '이미르'라는 애칭이 붙었다.
인도의 왕비 시타는 그녀의 사랑하는 군주이자 남편인 라마와 별거의 삶을 살았던 여인이다. 한편, 애니메이터인 니나의 남편은 일 때문에 인도로 이주한 후 곧 그녀에게 이메일을 통해 이별을 통보한다. <블루스를 부르는 시타>는 인도의 서사시 ‘라마야나’를 아름답게 재해석한 작품으로 3명의 유쾌한 그림자 인형이 등장해 고대의 비극와 현대의 희극을 동시에 들려준다. 독특한 화풍과 동서양의 음악이 잘 버무려진 뮤지컬 애니메이션으로 1920년대에 활동했던 재즈 보컬 아넷 핸쇼의 노래 속에 역사상 가장 유명했던 이별이야기가 펼쳐진다.
러브크래프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공포 영화 [좀비오]의 속편. 전편에서 죽은 사람을 되살려냈던 과학자가 이번에는 사랑 때문에 또 죽은이를 살려낸다. 시체실에서 몰래 훔쳐낸 시체조각들을 이리저리 헝겊처럼 겨우 기워서 되살려낸 여인. 그런데 문제는 살려놓고 보니, 사랑하던 여인이 아니라 괴물. 게다가 이 괴물여인이 사랑받고 싶은 본능 때문에 소동을 일으키자, 모두들 왕따시키게 되는데...
마크 트웨인의 소설을 소재로 삼아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이 클레이 애니메이션은 톰 소여, 베키 대처, 허클베리 핀의 신나는 모험을 다루고 있다. 세 명의 아이들은 마크 트웨인이 핼리 혜성을 찾아 하늘나라로 가려고 만든 열기구에 몰래 타게 된다. 늙고 지친 마크 트웨인은 혜성과 함께 죽으려 하지만 아이들은 그런 마크 트웨인을 말려보려고 한다.
혜성을 찾는 모험을 하는 사이 마크 트웨인의 유명한 작품들의 이야기를 조금씩 둘러보고 먼 옛날로 돌아가 태초의 역사에 대해서도 배우게 된다.
신들의 왕 제우스(리암 니슨)와 그의 전지전능함을 질투한 지옥의 신 하데스(레이프 파인즈)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으로 인해 인간세상이 혼란과 고통을 겪게 된다. 이에 아버지 제우스에게서 물려 받은 강인함과 인간인 어머니에게서 물려 받은 자비로움을 갖춘 영웅 페르세우스(샘 워싱턴)는 인간들을 구할 수 있는 절대적인 힘을 얻기 위해 금지된 땅으로 떠난다. 천마(天馬) 페가수스를 탄 채 군대를 진두 지휘한 페르세우스 앞에는 전설의 메두사를 거쳐 해저괴물 크라켄까지 험난한 여정이 예고되는데…
After being kidnapped and escaping, young drummer boy Aaron searches for his camel and finds him in the Nativity of the Baby Jesus. Aaron gives Baby Jesus the only gift he has, a song on his drum.
The story takes place entirely on a kitchen counter and sees two slices of raw meat as protagonists. The first slice is courted by the second and together they dance to the notes of a recording from the 1920s broadcast on the radio, after which the two slices find themselves playing and flirting on a plate full of flour, but the passion is abruptly interrupted by two skewers who fork the two slices and fry them in a pan.
Test space rockets exploding at liftoff and increased reporting of UFO sightings culminate in a direct attempt by alien survivors of a dead, extra-galactic civilization to invade Earth from impervious flying saucers, using ray-weapons of mass destruction.
가난에 찌든 으스스한 마을에서 태어난 난쟁이‘톰썸’톰은 빈곤하게 살아가는 부모님의 삶 속에서 새로운 희망으로 커가고, 아버지는 불쌍한 톰을 위해 버려진 인형의 가구며 옷가지를 찾아 썩어가는 도시의 거리를 배회한다. 그러나 신기한 난쟁이가 태어났다는 소식에 정부에까지 들어가게 되고 정부 관리들에 의해 붙잡힌 톰은 기형아와 돌연변이를 연구하는 실험실에 갇히게 되는데....
이에 톰의 부모가 힘들게 꾸려가던 행복은 산산히 흩어져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불쌍한 톰은 과학자들의 거대한 손에 의해 끔찍한 공포에 시달린다. 그 와중에서도 실험실에서 다른 기형 친구들과의 우정을 쌓아가는 톰... 그는 언제부턴가 굉장한 힘을 지닌 마이티 임프와 친하게 지내게 된다. 유리 플라스크 안에 갇혀 격렬하게 움직이며 분노를 표현하는 마이티 임프. 무시무시한 힘을 가진 임프와 조그만 난쟁이 톰은 같은 운명에 처한 채 의사의 실험용 칼을 피해 실험실을 탈출하게 된다. 유전자 조작으로 인해 기형이 된 수많은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 그들의 유일한 생존 탈출구인 쓰레기 하수구 길을 발견하게 된 톰은 갑자기 자신이 거인 나라의 변두리 지역에 있음을 알게 된다.
Christopher Columbus believes he can find an alternative route to the far East and persuades the King and Queen of Spain to finance his expedition...
앨리스(크리스티나 코호토바 분)는 진열장을 깨고 나온 흰 토끼를 쫓아 가다가 지하 세계로 떨어진다. 앨리스가 도착한 이상한 나라에는 요상한 캐릭터들이 즐비하다. 흰 토끼는 뜯어진 가슴팍 사이로 손을 집어 넣어 몸에서 톱밥이 묻은 시계를 끄집어내는 박제이고, 애벌레는 핏발이 선 의안과 의치로 무장한 낡은 양말이다. 3월 토끼는 다 낡아서 눈이 떨어져 가는 인형이며, 도어 마우스는 살아 움직이는 여우 목도리다. 미친 모자 장수는 목제인형이고, 카드에서 방금 나온 듯한 하트여왕은 무엇이든 보이기만 하면 목을 잘라낸다. 얀 슈반크마예르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 루이스 캐롤의 동화 속 어린 앨리스의 이야기에서 영감을 얻었다.
A very free adaptation of Marlowe's 'Doctor Faustus', Goethe's 'Faust' and various other treatments of the old legend of the man who sold his soul to the devil. A nondescript man is lured by a strange map into a sinister puppet theatre, where he finds himself immersed in an indescribably weird version of the play, blending live actors, clay animation and giant puppets.
In this early stop-motion film by Czech surrealist Jan Svankmajer, a device consisting of a clock, a pendulum, a faucet and a bucket enacts a series of events whenever the clock chimes.
A nondescript man is trapped in a sinister flat, where nothing seems to obey the laws of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