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front Women (1950)
THE DESIRES AND LONELINESS of seafaring men and their women!
장르 : 드라마
상영시간 : 1시간 20분
연출 : Michael Anderson
각본 : Paul Soskin
시놉시스
When ship's fireman Peter McCabe walks out on his long-suffering wife, he leaves her impoverished, with two young daughters and a boy born soon after his departure. After an absence of fourteen years McCabe returns, sacked and humiliated, trailing trouble in his wake.
반전 시위와 로큰롤의 감성이 젊은이들을 뒤흔들던 1960년대 후반의 미국, 그 안에서 비틀즈의 음악이 눈 부신 사랑으로 피어난다. 영국 리버풀 선착장에서 일하는 평범한 청년 주드. 연락이 끊긴 친아버지를 찾을 생각으로 미국으로 향하지만, 새로운 땅에서 자신을 진심으로 대해준 것은 친아버지가 아닌 맥스라는 친구였다. 주드는 맥스와 함께 뉴욕으로 떠나 화가로써의 꿈을 키우며, 같은 건물에 사는 뮤지션들과 어울린다. 주드는 맥스의 여동생 루시와 함께 어울리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사랑에 빠지게 된다. 와중에 베트남 전이 발발하고, 맥스는 베트남 전에 징병된다. 루시가 반전 시위에 더욱 열성적으로 참여하면서, 주드와의 사이는 점점 벌어지게 되는데… 세 남녀는 어떻게 시대의 아픔을 극복하고, 음악을 통해 다시 만나게 될까!?
옛날 옛적 바다 밑, 페퍼랜드(Pepperland)라는 평화로운 마을에 이나라 최고 인기 밴드인 서전트 페퍼스 론리 하츠 클럽 밴드(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가 음악이라면 질색인 블루 미니스(Blue Meanies)가 이끄는 군대로 부터 미사일 공격을 받는다. 그들은 이세상에서 음악과 사랑과 행복을 영원히 말소시키기 위해 평화로운 마을에 침공한 것. 위기를 맞은 페퍼랜드 국민들은 구원을 청하는 노란 잠수함을 타고 비틀즈를 찾게 되고 사정을 들은 비틀즈는 온갖 모험과 기지로 마을의 평화를 되찾는다.
리버풀의 가난한 항구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난 존은 부모의 불화로 이모 미미의 손에서 자라난다. 아빠처럼 든든하게 지켜주던 이모부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상실감에 빠진 존은 이모 미미 몰래 엄마 줄리아를 찾아간다.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자신을 이해해주는 줄리아를 따르며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는 존. 그러나 미미는 동생 줄리아의 무책임한 행동에 존이 다시 상처받을까 걱정하고 둘의 만남을 반대한다. 한편, 전세계적인 열풍이 불고 있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공연을 접한 존은 그의 노래와 패션은 물론, 로큰롤 세계에 흠뻑 빠져든다. 이모와 엄마의 불편한 관계 속에서 혼란과 불안감에 힘겨워 하던 존은 음악에 더욱 깊이 빠져 들고, 마침내 친구들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기로 한다. 밴드 멤버를 구하던 중 수줍은 소년 폴 매카트니를 만나 음악을 향한 열정과 깊은 우정을 나눈다. 마침내 존은 전설적인 록그룹 비틀즈의 전신 쿼리멘 밴드를 결성하고 리버풀의 작은 클럽에서 연주를 시작하는데...
사랑하는 아내, 안나를 잃은 존(마이클 키튼 분)은 어느날, 죽은 아내의 목소리가 라디오와 자동 응답기를 통해 들려오자 혼란에 빠진다. 이에 앞서 레이몬드라는 남자가 존을 찾아와 자신도 안나로부터 메시지를 들었다고 했지만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그를 돌려 보낸다. 그러나 존은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레이몬드를 찾아가게 되는데 거기서 비슷한 처지의 사라(데보라 카라 웅거 분)를 만나고 그들은 죽은 이들과의 접촉을 이어나가게 된다. 그러다 레이몬드가 죽고 사라와 존은 우연찮게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는데 레이몬드를 방문했던 명단에 있는 사람들이 존의 모니터에 모습을 보이곤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이었다. 존의 모니터에 '가서 그들을 도와 주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그러자 존은 이렇게 계속되는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혼돈에 빠지게 되는데.
‘데미안’ 형제는 아빠와 함께 어느 조용한 마을로 이제 막 이사를 왔다. 하늘에서 뚝~ 떨어진 돈벼락, 쓸 수 있는 시간은 열흘뿐! 어느 날, 기찻길 옆에서 놀고 있던 두 형제 앞에 갑자기 커다란 가방 하나가 뚝~ 떨어진다. 그 안에 든 것은 자그마치 ‘백만파운드’라는 엄청난 양의 현찰! 하지만 이 돈의 사용기간은 유로화 통합 전 단 열흘뿐이다. 두 형제, 일단 맘껏 이 돈을 쓰기로 한다. 돈 쓰는 법도 가지가지! 두 형제의 기상천외한 돈쓰기가 시작된다!
1978년, 리버풀에서 우연히 만나 사랑에 빠진 필름스타 ‘글로리아’와 배우 지망생 ‘피터’ 너무나도 달랐지만 함께라서 특별했던 두 사람은 어쩌면 마지막이 될 시간을 위해 가장 뜨겁게 사랑했던 리버풀로 돌아온다. 우리의 사랑은 이곳에 기억된다.
약대 졸업식날 마약 제조 혐의로 약사 자격을 뺏긴 맥클로이는 30년 후 마약 제조자가 된다. 리자드의 수하에서 코카인보다 51배 강하고, 엑스터시보다 51배 자극적인 신소재 마약 POS-51D을 제조한 맥클로이는 세계 최고의 마약상 듀란과 거래를 위해 또 다른 음모를 꾸민다. 하지만 거래하는 날 듀란과 맥클로이는 나타나지 않고 약속장소는 폭파된다.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리자드는 맥클로이의 배신에 분노해 미모의 킬러 다코타에게 맥클로이 제거를 명령한다.
Over three pivotal years in party politics, activists in the safest Labour seat in the country campaign for change under the banner of Jeremy Corbyn's 'For The Many' manifesto.
Sarah seems to have found her calling working in a Liverpool care home where she has a special talent for connecting with the residents. Then, in March 2020, the Coronavirus pandemic hits.
직장에 나가는 남편과, 이제는 다 자라 자신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자녀를 둔 평범한 40대 주부 '셜리'는 내세우고 자랑할 것은 없지만 그렇다고 가난하거나 부족한 것도 없는 평범한 주부이다. 쇼핑과 요리와 가정 이외에는 새로운 관심사를 찾아내지 못하던 셜리는 마침내 과감하게 2주간의 휴가를 계획하며 그리스로 떠나는데… 한 40대 중년 여성이 소극적이고 무능하게 느껴지는 현재의 삶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가는 과정을 코믹하고 감동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관객을 향해 방백하는 연극적 기법을 자주 사용한다. 아름다운 그리스 섬의 풍광과 함께, 그리스 남성과의 짧은 로맨스 그리고 씩씩하고 용감하게 자신감을 되찾아가는 셜리 발렌타인의 모습이 유쾌하게 그려진다. 영국이 나은 극작가 윌리 러셀의 희곡 "셜리 발렌타인(Shirley Valentine)"이 원작이 된 작품이다. 런던비평가상(1974), 골든글러브상(1984), 이보르노벨르상(1985)등을 수상한 윌리 러셸은 뛰어난 극작가이면서 연극 연출가이자 배우이기도 하다. 교육대학을 졸업했으면서도 미용사, 창고노동자, 포크송 작곡가, 가수 등 다양한 직업적 편력을 겪은 그는 "리타 길들이기"를 비롯하여 "의형제"라는 제목으로 번안된 "블러드 브라더스"를 통해서 우리에게도 친근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셜리 발렌타인(Shirley Valentine)"은 그의 대표적인 작품의 하나로, 일상적 삶의 권태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한 중년 여성을 등장시켜, 의미 없는 삶에 대한 각성과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나서는 한 인간의 심층을 강력하고 섬세하게 묘사해 놓은 뛰어난 작품이다. 현대 사회의 모순과 보편적인 인간의 정체성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를 극명하게 깨달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국내에서는 김혜자 씨 주연의 연극으로도 많이 알려진 바 있다. (EBS)
Teenage musicians travel to England's Spike Island in the hope of attending an outdoor performance by their favorite band, the Stone Roses.
영국 리버풀을 배경으로 한 테렌스 데이비스 감독의 자전적인 영화. 남다를 것 없는 평범한 가정의 세 남매 중 장녀인 아일린은 결혼식을 준비하며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추억한다. 기억 속의 아버지는 폭력적이고 억압적이었지만 동시에 약한 모습을 숨기고 있다. 1988년 칸영화제 국제비평가연맹상, 1988년 로카르노영화제 대상 수상
11살 소년 버드는 사랑하는 엄마와 가족들이 곁에 있지만, 외롭고 슬프다. 더구나 버드는 자신을 괴롭히는 아이들과 압제적인 선생님들 때문에 학교 생활에 적응하기가 더욱 힘들고, 겉돌기만 한다. 그런 버드에게 있어 유일한 위안은 동네 영화관에 가는 것이다. 카메라는 버드의 음울한 기억과 버드가 바라보는 어른들의 세계를 유영하듯 뒤쫓는다. 데이비스는 확고한 스타일과 특유의 재기 넘치는 연출로 다시금 자신의 어린 시절이 투영된 아름다운 서정시를 만들어냈다. 데이비스의 유연한 카메라는 시간과 기억을 뒤섞고, 버드의 상상과 실제 세계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버드 역을 맡은 아역 배우 리 맥코맥의 연기는 표정 하나, 몸짓 하나에서까지 절절함이 묻어난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쓰인 곡은 바로 영화의 제목과 같은데, 영국의 유명 작곡가 아서 설리번이 만들었으며, 장송곡으로 자주 쓰인다. (2014 영화의 전당 - 영국영화의 심장: 마이크 리 & 테렌스 데이비스)
Liverpool. 1947. Right after World War II, a star struck naive teenage girl joins a shabby theatre troupe in Liverpool. During a winter production of Peter Pan, the play quickly turns into a dark metaphor for youth as she becomes drawn into a web of sexual politics and intrigue and learns about the grown-up world of the theater.
A woman attempts to escape her domestic problems by fleeing to New York in search of her father. She finds him, and also new problems, some friendship, a romance, and an unexpected career as pro-boxer, to make ends meet.
An undercover officer tracks waterfront corruption from California to New Orleans and back.
These three semi-autobiographical short films by Terence Davies follow the journey of Robert Tucker, first seen as a hangdog child in "Children" (1976), then as a hollow-eyed middle-aged man in "Madonna and Child" (1980), and finally as a decrepit old man in "Death and Transfiguration" (1983). Dreamlike and profoundly moving.
The descendent of a ghost imprisoned for cowardice hopes to free the spirit by displaying courage when under duress.
Min, the owner of a dockside hotel, is forced to make difficult decisions about the future of Nancy, the young woman she took in as an infant.
A would be private eye gets mixed up in a smuggling c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