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he Women in the World (1966)
장르 : 코미디
상영시간 : 1시간 30분
연출 : Domingos de Oliveira
시놉시스
Womanizer suddenly finds a woman who makes him change the way he looks at women. He falls in love, and believes she is in fact all women in one. Because of that, he has to face an important decision: to go on with his old life or embrace this special relationship and become a monogamous man.
가난한 소작농인 제 도 부로(레오나르도 빌라 분)는 산타 바바라 성당에 가져다 놓을 거대한 십자가를 어깨에 지고 그의 아내 로사(글로리아 메네제스 분)와 함께 그들이 살던 Bahia의 작은 마을을 떠나 42km나 떨어진 살바도르로 향한다. 그들은 성녀에게 전 재산을 가난한 이웃들에게 나누어 주고 십자가를 봉헌하겠다는 맹세를 하고 그 맹세를 지키기 위해 성당까지 힘들게 걸어가지만 신부(디오니시오 아즈베도 분)는 '이교도적인 우상 숭배'라며 부부를 질타한다. 1950년대 브라질 인기 배우이기도 했던 안셀모 두아르테 감독은 이 영화로 1962년 칸 국제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하와이 섬에서 언니 나니와 함께 사는 외톨이 소녀 릴로는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를 즐기고 훌라춤을 추며 씩씩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랑스런 아이. 늘 친구 하나 만들기가 소원이었던 릴로는 동물보호소에서 스티치를 만나게 되자 그를 집으로 데려간다. 릴로에겐 그저 귀여울 뿐인 강아지로 보이지만 사실 스티치는 투로 행성의 실험용 외계 생명체. 은하계 감옥으로 끌려가던 중 도망치다가 그만 지구에 불시착한 것이다. 투로 행성의 스티치 추격대가 지구로 날아오고 스티치는 갖은 꾀로 그들의 추적을 피해다닌다.
A woman lies on the sand, left there by the tides and waves (and in a pose that would be copied in From Here to Eternity). She reaches up across tree roots and makes a difficult climb. Only to discover herself climbing horizontally along a long dinner table as bourgeoise black-tie guests chat and drink and smoke, oblivious to her. At the top of the table, a man is playing chess but abandons the game. Fascinated, she gazes at board, the pieces moving unaided. The woman chases a pawn as it falls to the floor. Falls down a waterfall. Is lost.
In a poor neighborhood in Recife, the lives of exotic and bizarre characters entwine in a bar and in a very low-budget hotel. The queer Dunga works in the hotel and has a crush on the butcher Wellington that is married with the religious Kika and has an affair with his mistress Dayse. The sick necrophiliac Isaac owns a yellow Mercedes Benz and wants to have sex with Lígia that owns of Bar Avenida.
사귀는 척했다. 그런데 이젠 진짜 사귄다! 풋풋한 커플 라라 진과 피터. 하지만 10대의 연애란 한 치 앞도 모르는 것. 라라 진의 편지를 받은 또 다른 남자애가 나타난다.
1607년 젊은 미남 선장 존 스미스는 황금에 눈 먼 총독 랫클리프와 신대륙을 향해 모험을 떠난다. 신대륙에 도착한 존 스미스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정열로 채굴광 부근 숲 속으로 정찰을 나간다. 한편 원주민 추장 포와탄의 딸인 포카혼타스는 아버지가 전사 코코움과 혼인을 맺어주려 하자 인생의 중요한 해답을 찾기 위해 버드나무 할머니를 찾아간다. 그곳에서 포카혼타스는 존 스미스를 만나게 된다. 서로 사랑에 빠진 두 사람의 관계와는 달리 포와탄 부족과 개척자의 관계는 계속 나빠진다. 그러던 어느날 코코움이 개척자에게 사살되고 그 장소에 있던 존 스미스는 부족에게 잡혀가게 되는데...
영화는 브라질의 한 감옥 장면에서부터 시작된다. 교도소 생활이 진행되는 가운데 플래쉬백으로 과거 이야기가 전개된다. 무일푼으로 시골에서 대도시로 들어온 노나토는 한 허름한 식당에서 무전취식하다 주인에게 발각되자, 식당 일을 시켜주고 보수 대신 부엌 옆의 조그만 골방에서 숙식을 제공받기로 한다. 무식하고 배운 것은 없었지만 요리에 뛰어난 재능이 있었던 노나토가 주방을 맡은 이후로, 그가 만든 고로케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 식당에는 사람들로 붐비게 된다. 그 중 창녀인 이리나는 기가막힌 맛에 홀려 공짜로 먹고 대신 섹스를 제공하는 사이가 된다. 어느 날 손님 중에 유명한 이태리 식당 보카치오의 주인이 우연히 그 맛을 보게 되고 노나타를 스카우트하기에 이르는데...
14세 소녀는 하늘을 나는 조종사를 꿈꾼다. 자신을 나이 많은 남자와 결혼시키려는 아버지의 계획을 모른 채. 1970년대 파키스탄을 배경으로 하는 무성 단편 애니메이션
암 진단 결과를 기다리던 가수 클레오는 곧 죽음을 맞이한다는 점괘를 받는다. 불안에 잠긴 클레오는 의사의 최종 진단을 기다리는 동안 끊임없이 파리 곳곳을 배회하기 시작한다.
'파리에서 만들어진 가장 아름다운 영화'라는 평가를 받았던 이 영화는 감독인 아녜스 바르다에게 최초로 국제적인 명성을 가져다주었다. 클레오의 모든 행동과 사건들은 실제로 물리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사됨으로써 그녀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는 모습과 그 두려움을 벗어나게 되는 과정이 동시적으로 포착된다. 영화 속에서 점차로 그녀는 자기 자신은 물론이고 죽음과 삶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통찰을 향해 나아가기 때문이다. 바르다는 이 작품에서 관습적인 이야기 전개 대신에 사진적인 것과 영화적인 것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데, 미와 추는 조우하고 그로테스크함(살아있는 개구리를 먹는 남자)과 사랑스러움(클레오의 공적 이미지)은 병치되며, 빛과 어둠, 인공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은 시각적 대조를 이루고, 밝은 뮤지컬 코미디와 비극적 드라마가 서로 엮어 들어감으로써 영화는 전반적으로 대립을 통해서 미묘한 결을 구성해간다.
In Bahia, an educated black man returns to his home fishing village to try and free people from mysticism, in particular the Candomblé religion, which he considers a factor of political and social oppression, with tragic outcome.
남아메리카의 상상 국가 엘도라도, 임종 직전의 파울루는 자신의 삶을 돌아본다. 정치 영화의 걸작으로 꼽히는 이 작품에서 감독은 인민주의적 좌파와 파시스트적 우파가 모두 실패한 과정을 꼼꼼히 파헤친다. 전형적인 이야기 구조를 거부하며 새로운 방식의 플롯을 선보이는 은 라틴 아메리카의 엄혹한 “정치적 경험의 느낌”(로버트 스탬)을 표현한다.
셔머 고등학교의 토요일 아침. 문제아들이 벌로 토요일에 등교하게 된다. 부모에게 늘 인정받지 못하고 무시당하자 불량배가 된 존(John Bender: 쥬드 넬슨 분), 승부에 집착하는 아버지(Andy's Father: 론 딘 분) 때문에 동료 선수를 괴롭힌 레슬링 선수 앤디(Andrew Clark: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분), 성적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다가 자살 기도까지 한 천재 브라이언(Brian Johnson: 안소니 마이클 홀 분), 부모의 주도권 다툼에 가정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고 사치와 낭비로 소일하는 부잣집 딸 클레어(Claire Standish: 몰리 링왈드 분), 부모의 주의를 끌기 위해 이상 성격을 나타내는 알리슨(Allison Reynolds: 앨리 쉬디 분) 등이 한 교실에 모인다. 담임인 버논 교사(Richard Vernon: 폴 글리슨 분)는 학생들에게 자기 자신에 대해 글짓기를 하라고 시킨다. 다섯명의 문제아들은 토요일 하루를 같은 교실에서 다투고 논쟁하고 화해하면서 꼭 닫았던 마음의 문을 열고 서로 좋은 친구가 된다. 고민거리는 서로 달랐지만 공통점은 가정의 불화와 부모의 기대에 대한 중압감이 원인이었음이 밝혀진다. 드디어 헤어질 시간. 이들은 '토요일의 아이들'이라는 제목으로 담임에게 편지를 남긴다. 교사가 편견을 갖고 한사람 한사람에게 문제아 딱지를 붙이는 것 그것이 바로 문제라는 것.
스코틀랜드 에딘버러의 뒷골목에 살고 있는 렌튼, 스퍼드, 벡비, 식보이, 토미는 아무런 희망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이들에게 있어 유일한 즐거움은 마약을 하는 것이다. 이들은 마약을 사기 위해 강도 행각을 벌이고, 아기가 마약을 먹고 죽는 상황까지 벌어지게 된다. 그 후 백화점을 털던 스퍼드는 실형을 선고 받고, 렌튼은 끔찍한 과정을 거쳐 마약을 끊고 취직을 한다. 건실하던 토미는 에이즈로 죽고, 벡비는 장물아비로, 식보이는 포주 노릇을 한다. 하지만 이것도 잠시, 이들은 다시 모여 마약을 팔아 큰 돈을 챙기고 렌튼은 친구들이 잠든 사이에 돈가방을 들고 혼자 달아나는 사건이 벌어지는데...
자유의 나라, 미국. 하지만 지금도 수많은 흑인이 감옥에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미국 감옥의 현실과 인종차별을 곱씹는 시사 다큐멘터리.
Mid-1970s. When the military regime's "economic miracle" and the victory of the Brazilian football team on the World Cup serve as a distraction for the persecution of opposition leaders by the political police of the dictatorship. Under this context, Jofre Godoi da Fonseca, an alienated middle-class man, is mistaken for Sarmento, a political activist he met at an airport prior to his assassination. He is then arrested for being "subversive".
Shots fired inside a club frequented by black Brazilians in the outskirts of Brasilia leave two men wounded. A third man arrives from the futu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cident and prove that the fault lies in the repressive society.
당연한 것이 당연하지 않았던 그때, 자유와 평등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던 흑인 여성 해리엇 터브먼의 실화를 담았다. 해리엇은 미국 남부 메릴랜드에서 노예의 딸로 태어나 북부 필라델피아로 탈출했다. 그녀는 노예들의 탈출을 돕는 조직 ‘지하철로’에서 길을 인도하는 ‘차장’으로 활동하며 약 70여 명의 노예들을 자유로 이끌었고, 남북전쟁에 종군하여 콤바히 강 작전에서 750여 명의 노예들을 구출하기도 했다.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는 그들의 외침은 즉 살아가는 것과 자유로운 것이 같다는 의미였다. 하지만 그녀는 살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유롭지 못했고, 불평등에 대한 의문은 행동을 위한 의지가 되었다. 영화는 상처받은 영혼이었던 해리엇이 다른 동료들과 연대하며 강인한 지도자로 변모하는 과정에 집중한다.
오랜만에 느끼는 아빠의 다정한 손길에 두근거리는 심장을 심장병이라고 오해한 아빠 덕분에 학교는 구경도 못해본 아멜리에. 노틀담 성당에서 뛰어내린 관광객에 깔려 엄마가 하늘 나라로 가 버리고, 유일한 친구 금붕어마저 자살을 기도한 뒤 그녀는 정말로 외톨이가 된다. 하지만 어느날 빛 바랜 사진과 플라스틱 군인, 구슬이 가득 담긴 낡은 상자를 우연히 발견하면서, 그녀에게 마법 같은 일들이 시작된다. 주변 사람들에게 행복을 찾아주는 기쁨을 통해 삶의 행복을 발견했다고 굳게 믿던 그 순간 그녀의 심장이 또다시 두근거리기 시작하는데...
1942, in the middle of Northeastern Brazil, two very different men meet along the road: Johan, an aspirin salesman avoiding the German draft, and Ranulpho, a rural Brazilian seeking escape from the drought.
Rosa is in her late 30s, a child of the 1970s with divorced parents. She lives with her own family in São Paulo. Overwhelmed by an eruption of individual passions, lies and the expectations of three generations, she tries to discover who she really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