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an-Louis Brau

참여 작품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이시도르 이주가 만든 실험영화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는 레트리즘 영화선언문을 이룬다. 이주는 관객을 속이는 영화 관습을 부정하며 영상과 음향이 일치하지 않는 불일치 영화에 대한 구상을 비롯한 몇 가지 새로운 생각을 제시했다. 또한 필름 자체에 스크래치를 내거나 의도적으로 색을 바래게 만드는 '손상 기술'도 고안했다. 1951년 칸느 영화제에서 격렬한 논란을 일으킨 이 영화는 후에 미국에 소개되어 아방가르드 영화감독 스탠 브래키지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장 이시도르 이주는 단편소설, 시와 에세이를 비롯한 많은 작품을 출간한 작가였다. 또한 레트리즘 운동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이주는 글을 쓰고 영화를 만들고 사진을 찍고 음악을 만들었으며 영화 연기를 하기도 했다. 이주가 "영화에 맞선 반란"을 언급한 이 작품에서 그는 영화에서 무엇이 잘못된 것이며 그가 생각하기에 영화란 무엇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인지 예를 보여주려 했다. 스탠 브래키지는 이 영화를 수 차례 보고 자신이 강의하는 수업에서 보여주면서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지극히 형식적이고 정제되어 있으며 균형 잡힌 작품"이라 평했다. 이 영화가 예술적인 표현을 대변하는지 아닌지는 관객 판단의 몫으로 남게 될 것이다. 장 콕토가 "영원과 욕설에 관한 논고"는 도약의 발판인가? 혹은 회피에 불과한가" 라고 물었듯이 말이다. 50년 내에 우리는 이에 대한 답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바그너가 어떻게 물러났는지를 기억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그의 분노에 아무도 맞서지 않는다. 이주의 양식이 유행하게 되는 날이 오게 될 것이다. 그 누가 알랴?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는 칸느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었는데 소요를 불러일으켰고 호스가 장내에 투입되어야만 했다. 이 영화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미술관 예술영화 상영관에서 시사회를 가졌고 또 한 번 소요사태를 불러일으켰다. 브래키지와 로버트 던컨을 비롯한 다른 예술가들은 로마 카톨릭 사제가 관객에게 이 영화가 프랑스 데카당스에 불과하다 경고하기 위해 불려
오르페
Young Man on the Terrace of the Flora (uncredited)
파리의 생 제르맹 드 프레에 있는 시인 까페. 지적이며 미남인 시인 오르페와 술의 시인인 세제스트는 동료 시인들과 자주 이 까페에 드나든다. 어느날 검은 머리, 검은 옷에 진주 목걸이를 걸친 죽음의 여왕이 롤스로이스를 타고 이곳에 나타난다. 소름이 끼칠 정도로 싸늘한 분위기가 감돌지만 그녀는 매우 아름답다. 죽음의 여왕은 부하 두 명으로 하여금 술에 취한 시인 세제스트를 오토바이로 치여 죽이게 한다. 때마침 그 광경을 목격한 오르페, 여왕은 오르페와 함께 이미 숨진 세제스트를 싣고 죽음의 나라로 달린다. 당연히 병원으로 가는 줄 알았던 오르페지만 간 곳은 폐허가 된 별장이었다. 오르페는 죽음의 여왕이 세제스트를 불러일으켜 거울 속으로 사라지는 모습을 보게된다. 얼떨결에 오르페도 따라가다 겨울에 부딪혀 정신을 잃고 쓰러진다. 다시 의식을 찾았을 때는 낡은 별장의 흔적은 간 곳이 없고 황량한 들판에 자신이 쓰러져 있음을 알게 되었다. 오르페는 다시 생의 나라로 돌아오지만 정체를 알 수 없는 매력적인 여왕의 모습 때문에 사랑하는 아내였던 유리디스마저 돌보지 않고,오로지 자동차의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나라의 암호에만 귀를 기울이는 것이었다. 죽음의 여왕은 이번에는 오르페를 파멸시키라는 임무를 띠게 되지만,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오르페를 사랑하게 된다. 어두운 밤이 되면 슬그머니 죽음의 나라로부터 내려와, 오르페의 침실에 나타나서 그의 자는 모습을 지켜보기도 한다. 이윽고 오르페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이기지 못한 여왕은 인간들만이 느끼는 질투를 느끼게 되어 부인 유리디스를 살해한다. 그러나 여왕의 행동은 죽음의 나라에서는 용납할 수 없는 위반 행위였다. 이 때문에 그녀는 재판을 받게 된다. 여왕의 차를 운전하는 외르트비츠로부터 소식을 전해들은 오르페는 그의 안내를 받아 거울속의 나라로 들어간다. 이번에는 거울을 녹이는 장갑을 끼고서. 죽음의 나라에서 재판이 열리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