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Eung-soo

출생 : 1966-01-01, Chungju,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약력

Kim Eung-soo (김응수) is a South Korean film director.

참여 작품

바다의 극장
Director
시인 재호는 현실 세계에서는 더이상 시를 쓸 수 없어 사이버 세계에 들어가게 되고, 15년 전에 알던 주연을 거기서 만난다. 재호는 사이버 세계에 기대를 잔뜩 품었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주연은 재호에게 사이버 세계의 법과 규칙, 생활양식을 가르친다. 그 가운데 그들은 자신들이 밖으로 밀어낸 중요한 기억을 발견한다. 그 기억은 사이버 세계 바다를 흘러 다니는 파일이다. 그리고 그것은 재호 자신이지만 회피해야만 하는 무엇이다.​
생 로랑
Director
주인공은 스마트 폰으로 찍은 조잡한 바다 하나를 극진히 간직하고 있다. 마치 페티시즘의 대상으로서의 사물처럼... 그 바다는 연인과 헤어진 곳이었다. 그렇기에 사적 비밀의 의미가 샘솟는다. 그는 그 바다를 노트북에 띄워놓고 하루 종일 본다. 그는 (그 바다가 그를 이끌고 가는 것임에도) 자신이 스스로 연인과의 순수한 사랑의 장소인 생 로랑을 찾아간다고 착각한다. 픽션을 만드는 자는 누구인가? 당신도 나도 아니다. 계산된 이성으로는 픽션의 진실 속으로 들어갈 수 없다. 다른 무언가에 의지해야 한다. 열망이 간절하였는지, 그는 픽션 속으로 들어가고 사라져버린다. 그 바다와 함께! 세상은 그대로인데 정작 그는 없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현실에 있다. 그는 방구석에서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그것이 그가 사는 요령이었다. 이성 외의 힘을 빌려, 나름 순수해지기를 갈망하는 존재처럼 자기를 채색하는... 그것이 부조리하다고 빈정거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최선인...
시간의 고고학
Director
a는 패배자다. 어느 날, a는 사라진 연인 z의 편지를 받는다. 그 역시 이름 없는 패배자였다. a는 z와의 추억을 따라간다. 앞으로 간다. 그리고 예기치 않은 순간, 실제로 z를 만난다. a는 과거로 간 것인가? 아니다. 기억인가? 아니다. 썩은 시체인가? 아니다. 사라져 과거의 기억으로있는 줄로만 알았던 z가 미래로부터 나타난 것이다. a는 단숨에 z를 만났다. 그렇다면 우리가 미래라고 부르는 것은 잊힌 절절한 과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시간의 비밀이 숨어 있는 곳은 응결된 정지의 순간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
Director
우리는 거의 매일 찍는다. 원하는 프레임으로 사각형을 도려낸다. 그 사각형은 연결된 무한의 세계로부터 떨어져 나와 낯선 것들끼리 재 연결되어 영화가 되고, 홀로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이미지가 된다. 사각형은 찍는 자의 의도에 의해 살해된다. 그리고 보는 이의 의미에 의해 두 번 살해된다. 어느 것도 그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각형에는 인간의 의미가 없다. ‘저 장면 아름답다!’라고 말할 때, 아름답다는 말은 인간의 흥분일 뿐, 사각형 자신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꽃이 피는 데는 이유가 없다. 여기 류한길 음악가가 그 사각형을 위한 씻김굿을 행한다. 사각형의 몸을 깨끗이 닦고, 우리가 덧씌운 숨막히는 의미를 탈색하여, 본연의 그로 돌려준다. 알건 모르건, 우리는 언제나 어디서나 옅은 파동으로 울리는 그를 보고 듣게 될 것이다. 감각적인 사람은.
마지막 풍경
Director
육체의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여행 나는 내 물음을 써보았다. 대단한 것인양 행세하면서, 이데아는 왜 초라함 속에 숨어있는가. 따로 존재하는척 하면서, 아름다움은 왜 고통에 기생하는가. 미의 이데아는 없는 것일까. 왜 이렇게만 나타나는 것일까. 왜.
모호한 욕망의 대상
Director
스크린 너머로
Cinematography
선명, 희숙, 은혜는 영화동아리의 친구다. 그들은 30대이고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들은 각자의 꿈을 준비한다. 모임에서 서로의 속마음을 말하지 않는 것은 무언의 약속이다. 답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영화제에 영화를 보러 온다. 이상한 영화다. 어떤 사람의 영상일기이다. 끝없는 풍경의 반복. 몇 년 동안. 그는 왜 그것을 찍었을까. 그들은 영화라고 말할 수 없는 그 영화를 보면서 자신의 속마음을 혼자 말한다.
스크린 너머로
Director
선명, 희숙, 은혜는 영화동아리의 친구다. 그들은 30대이고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들은 각자의 꿈을 준비한다. 모임에서 서로의 속마음을 말하지 않는 것은 무언의 약속이다. 답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은 영화제에 영화를 보러 온다. 이상한 영화다. 어떤 사람의 영상일기이다. 끝없는 풍경의 반복. 몇 년 동안. 그는 왜 그것을 찍었을까. 그들은 영화라고 말할 수 없는 그 영화를 보면서 자신의 속마음을 혼자 말한다.
나르시스의 죽음
K
K는 남자이며 영화감독이다. 그는 강변에 산다. 그는 매일 아침 개를 데리고 강변의 숲을 산책한다. 미투(Me Too)가 한창일 때, 그는 이상한 불안을 느꼈다. 특별한 가해자는 아니었지만, 가해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묘한 불안... 그는 그 불안의 정체를 알아보려고 노력한다. 청년기에 본 영화 세편이 생각난다. 스필버그의 , 히치콕의 , 파큘러의 이 그것이다. 그는 이 불안이 존재의 불안임을 알아챈다. 왜 나르시스는 남자인가?
나르시스의 죽음
Director
K는 남자이며 영화감독이다. 그는 강변에 산다. 그는 매일 아침 개를 데리고 강변의 숲을 산책한다. 미투(Me Too)가 한창일 때, 그는 이상한 불안을 느꼈다. 특별한 가해자는 아니었지만, 가해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묘한 불안... 그는 그 불안의 정체를 알아보려고 노력한다. 청년기에 본 영화 세편이 생각난다. 스필버그의 , 히치콕의 , 파큘러의 이 그것이다. 그는 이 불안이 존재의 불안임을 알아챈다. 왜 나르시스는 남자인가?
산나리
Writer
Deep in the mountains, a gold-rayed lily (Sannari) is in bloom in front of a dark cave. The red lily looks hideous in the middle of deep greens. It beckons to people to come over and see it so as to learn about peace. Sannari tells you to ‘look aside, not far from you,’ ‘look at the half of people who got sacrificed by anti-communist ideology,’ and says that ‘I am your wound,’ ‘How can you coexist with North Koreans, unless you accept even me.’ Peace begins with this enlightenment.
산나리
Director
Deep in the mountains, a gold-rayed lily (Sannari) is in bloom in front of a dark cave. The red lily looks hideous in the middle of deep greens. It beckons to people to come over and see it so as to learn about peace. Sannari tells you to ‘look aside, not far from you,’ ‘look at the half of people who got sacrificed by anti-communist ideology,’ and says that ‘I am your wound,’ ‘How can you coexist with North Koreans, unless you accept even me.’ Peace begins with this enlightenment.
오, 사랑
Director
J is a middle-aged man who runs a small computer store in a small city. One Parents' Day in May, he has a peculiar experience..
초현실
Director
Kim Gwang-bae is an over-anxious father. He tags along on his son's school MT trips because he worries about his son. In his eyes, his son is still a mere teenager. Gun-ho died but his soul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Woosuk University. To Kim Gwang-bae, his son is alive and he wishes that his son wouldn't grow up because when he does, he has to leave his father's arms forever. Kim wants his son to remain with him no matter how much trouble he causes. However on one hand, he tries to let his son go because he knows he can't keep his son with him forever. In the evening, he returns home with his son still at the MT trip. He accepts that his son is a grown-up now. His son can make it on his own but in his heart, his son will always be a young boy.
우경
Director of Photography
Woo-kyeong is a masseuse. His life unfolds on the screen, which is neither to compassion nor peculiarity. He drinks coffee, cooks, makes phone calls, reads books, walks, massages, travels, and views the landscape.
우경
Director
Woo-kyeong is a masseuse. His life unfolds on the screen, which is neither to compassion nor peculiarity. He drinks coffee, cooks, makes phone calls, reads books, walks, massages, travels, and views the landscape.
옥주기행
Director
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소리에 관심이 있었던 듯하다. 멜로 영화 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장면은 아름다운 주인공들의 사랑이 아닌, 강원도 정선 어딘가의 산골에서 노부부가 부르던 정선아리랑을 남자 주인공이 녹취하던 장면이었다. 나는 그때 이 영화를 보면서 연애가 아닌, 왜 이 소리에 전율하는지를 내게 물었다. 그때 나는 겨우 30대였다. 그리고 우연이 필연이 되는 것처럼, 이상한 마을을 알게 되었다.
물속의 도시
Director
There's a man aged 93 years. He was born in the "City in the water" and lived there all his 90-plus years. You can see him always sitting under the zelkova tree beside the lake. However, he doesn't look at the beautiful lake. Instead, he looks the opposite side, where hills, walls and roads are. There's a quizzical eye of a man, observing him. One year passes. Seasons change. One day, the old man stares at a certain point in the lake, for the first as well as the last time. That was the location where the house he had been born in was. And he happens to get hospitalized soon afterwards. Then the exploration of the 'City in the water' began based on the old man's story.
아버지 없는 삶
Director
반세기의 시차를 두고 한국에 살았던 두 일본 여성이 아버지를 찾아 일본으로 떠난다. 가와시마 왓킨스의 '요코이야기' 속 요코와 한국 남성과 혼인 뒤 한국에 사는 마사코씨. 각자의 사정으로 한국에 살았던 둘의 여정은 상대를 통해 우리를 바라보게 한다.
물의 기원
Director
엄마가 남긴 그림 속의 풍경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한 남자. 그 곳은 임진왜란 때부터 파괴의 눈으론 찾을 수 없다는 전설이 있다. 결국 남자는 숲에서 길을 잃고, 새 한 마리가 나타나 그의 눈을 공격하는데.... 감독이 고향 충주의 남한강변을 산책하다 6.3사태 때 죽은 어느 대학생의 무덤을 보고 구상한 작품. 당시 사태의 장본인인 정치인들은 강을 파괴하려 하고 정작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는 죽은 이는 조용히 강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아이러니하다.
과거는 낯선 나라다
Interviewer/Interviewee
1986년 4월 28일, 대한민국 서울, 서울대학교 앞 신림 사거리에서 당시 서울대학교 학생이었던 20살의 청년 김세진 이재호 두 사람이 400여명의 학생들과 군사훈련인 전방입소 반대 시위를 벌이던 중 ‘반전반핵 양키고홈’ ‘북미 평화협정 체결’ ‘미 제국주의 축출’, 등의 구호를 외치며 분신하였다. 이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서 벌어진 최초의 대중적인 반미 구호였다. 한국사회는 엄청난 충격에 휩싸였다. 20년이 흘렀다. 세상은 변하였다. 남북의 정상이 만난다. 미국은 북한과의 ‘평화협정’을 논의한다. 상상할 수도 없던 일들이 벌어진다. 두 사람의 죽음을 목격했던 친구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그들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망각하고 있을까? 세상이 변한 것만큼 그들도 변했을까? 순응의 페르소나들! 부적응의 표정(얼굴)들! ‘역사는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다가오는 것이다.’ 그 진실에 관하여 친구들과 감독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위치를 바꾸며 증언한다.
과거는 낯선 나라다
Director
1986년 4월 28일, 대한민국 서울, 서울대학교 앞 신림 사거리에서 당시 서울대학교 학생이었던 20살의 청년 김세진 이재호 두 사람이 400여명의 학생들과 군사훈련인 전방입소 반대 시위를 벌이던 중 ‘반전반핵 양키고홈’ ‘북미 평화협정 체결’ ‘미 제국주의 축출’, 등의 구호를 외치며 분신하였다. 이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남한에서 벌어진 최초의 대중적인 반미 구호였다. 한국사회는 엄청난 충격에 휩싸였다. 20년이 흘렀다. 세상은 변하였다. 남북의 정상이 만난다. 미국은 북한과의 ‘평화협정’을 논의한다. 상상할 수도 없던 일들이 벌어진다. 두 사람의 죽음을 목격했던 친구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그들은 무엇을 기억하고 무엇을 망각하고 있을까? 세상이 변한 것만큼 그들도 변했을까? 순응의 페르소나들! 부적응의 표정(얼굴)들! ‘역사는 흘러가는 것이 아니라 다가오는 것이다.’ 그 진실에 관하여 친구들과 감독이 인터뷰어와 인터뷰이의 위치를 바꾸며 증언한다.
천상고원
Screenplay
연출의 변. "은 주제에서 전작들과 일맥상통한다. 어느 순간 어떤 사람이 이유 없이 증발한다. 그 공간이 라다크이고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의 증발에 대해 집착을 보이고 찾아 나선다. 그 사람을 만날 수도,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영화는 그런 과정을 바라보고 여행하는 사람과 그 사람이 보는 풍경, 특히 고원의 정경을 그려낸다." -씨네 21 인터뷰 중에서 영화제 소개글. 홀연히 사라진 한 여인으로부터 K는 “가장 가까웠던 사람에게 가장 잔인했던 나를 용서하지 않길 바란다”는 엽서 한 통을 받는다. K는 그녀와의 기억의 장소인 히말라야 고원의 한 마을 라다크로 여행을 떠나고, 그 곳에서 심한 고산병의 고통에 시달린다. 여인은 왜 사라졌을까, 왜 남자는 그녀를 찾아 나선 것일까? 은 이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으면서 그저 묵묵히 K가 바라보는 풍경과 그가 겪는 여행의 체험을 기록한다. 단순한 여행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K를 따라가는 여정은 토악질과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인간내면으로의 고통스런 탐구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카메라는 K가 자동차에서 내려 고통 속에서 토악질을 한 후 사막과도 같은 풍경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장면을 묵묵히, 혹은 아주 냉정하게 보여준다. 영화에서 주인공 K를 연기한 사람은 바로 감독 자신. 그는 픽션의 여행에서 자신이 예전에 이 곳을 찾았을 때 실제 찍었던 과거의 사진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며 스스로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문다. 그러면서 이 영화는 시간이 여전히 지속하면서 동시에 변화하고 있음을 엿보게 하며 그의 데뷔작 를 떠올리게 한다. 감독은 “지금 우리 마음은 사막처럼 황량하지만 이 여행이 끝날 때쯤 짙푸른 녹음이 우거진 오아시스를 만나게 될 거다”라 말한다.(김성욱)
천상고원
Producer
연출의 변. "은 주제에서 전작들과 일맥상통한다. 어느 순간 어떤 사람이 이유 없이 증발한다. 그 공간이 라다크이고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의 증발에 대해 집착을 보이고 찾아 나선다. 그 사람을 만날 수도,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영화는 그런 과정을 바라보고 여행하는 사람과 그 사람이 보는 풍경, 특히 고원의 정경을 그려낸다." -씨네 21 인터뷰 중에서 영화제 소개글. 홀연히 사라진 한 여인으로부터 K는 “가장 가까웠던 사람에게 가장 잔인했던 나를 용서하지 않길 바란다”는 엽서 한 통을 받는다. K는 그녀와의 기억의 장소인 히말라야 고원의 한 마을 라다크로 여행을 떠나고, 그 곳에서 심한 고산병의 고통에 시달린다. 여인은 왜 사라졌을까, 왜 남자는 그녀를 찾아 나선 것일까? 은 이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으면서 그저 묵묵히 K가 바라보는 풍경과 그가 겪는 여행의 체험을 기록한다. 단순한 여행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K를 따라가는 여정은 토악질과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인간내면으로의 고통스런 탐구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카메라는 K가 자동차에서 내려 고통 속에서 토악질을 한 후 사막과도 같은 풍경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장면을 묵묵히, 혹은 아주 냉정하게 보여준다. 영화에서 주인공 K를 연기한 사람은 바로 감독 자신. 그는 픽션의 여행에서 자신이 예전에 이 곳을 찾았을 때 실제 찍었던 과거의 사진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며 스스로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문다. 그러면서 이 영화는 시간이 여전히 지속하면서 동시에 변화하고 있음을 엿보게 하며 그의 데뷔작 를 떠올리게 한다. 감독은 “지금 우리 마음은 사막처럼 황량하지만 이 여행이 끝날 때쯤 짙푸른 녹음이 우거진 오아시스를 만나게 될 거다”라 말한다.(김성욱)
천상고원
연출의 변. "은 주제에서 전작들과 일맥상통한다. 어느 순간 어떤 사람이 이유 없이 증발한다. 그 공간이 라다크이고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의 증발에 대해 집착을 보이고 찾아 나선다. 그 사람을 만날 수도,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영화는 그런 과정을 바라보고 여행하는 사람과 그 사람이 보는 풍경, 특히 고원의 정경을 그려낸다." -씨네 21 인터뷰 중에서 영화제 소개글. 홀연히 사라진 한 여인으로부터 K는 “가장 가까웠던 사람에게 가장 잔인했던 나를 용서하지 않길 바란다”는 엽서 한 통을 받는다. K는 그녀와의 기억의 장소인 히말라야 고원의 한 마을 라다크로 여행을 떠나고, 그 곳에서 심한 고산병의 고통에 시달린다. 여인은 왜 사라졌을까, 왜 남자는 그녀를 찾아 나선 것일까? 은 이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으면서 그저 묵묵히 K가 바라보는 풍경과 그가 겪는 여행의 체험을 기록한다. 단순한 여행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K를 따라가는 여정은 토악질과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인간내면으로의 고통스런 탐구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카메라는 K가 자동차에서 내려 고통 속에서 토악질을 한 후 사막과도 같은 풍경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장면을 묵묵히, 혹은 아주 냉정하게 보여준다. 영화에서 주인공 K를 연기한 사람은 바로 감독 자신. 그는 픽션의 여행에서 자신이 예전에 이 곳을 찾았을 때 실제 찍었던 과거의 사진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며 스스로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문다. 그러면서 이 영화는 시간이 여전히 지속하면서 동시에 변화하고 있음을 엿보게 하며 그의 데뷔작 를 떠올리게 한다. 감독은 “지금 우리 마음은 사막처럼 황량하지만 이 여행이 끝날 때쯤 짙푸른 녹음이 우거진 오아시스를 만나게 될 거다”라 말한다.(김성욱)
천상고원
Director
연출의 변. "은 주제에서 전작들과 일맥상통한다. 어느 순간 어떤 사람이 이유 없이 증발한다. 그 공간이 라다크이고 어떤 사람이 이 사람의 증발에 대해 집착을 보이고 찾아 나선다. 그 사람을 만날 수도,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영화는 그런 과정을 바라보고 여행하는 사람과 그 사람이 보는 풍경, 특히 고원의 정경을 그려낸다." -씨네 21 인터뷰 중에서 영화제 소개글. 홀연히 사라진 한 여인으로부터 K는 “가장 가까웠던 사람에게 가장 잔인했던 나를 용서하지 않길 바란다”는 엽서 한 통을 받는다. K는 그녀와의 기억의 장소인 히말라야 고원의 한 마을 라다크로 여행을 떠나고, 그 곳에서 심한 고산병의 고통에 시달린다. 여인은 왜 사라졌을까, 왜 남자는 그녀를 찾아 나선 것일까? 은 이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하지 않으면서 그저 묵묵히 K가 바라보는 풍경과 그가 겪는 여행의 체험을 기록한다. 단순한 여행 다큐멘터리처럼 보이지만 그럼에도 K를 따라가는 여정은 토악질과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인간내면으로의 고통스런 탐구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카메라는 K가 자동차에서 내려 고통 속에서 토악질을 한 후 사막과도 같은 풍경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장면을 묵묵히, 혹은 아주 냉정하게 보여준다. 영화에서 주인공 K를 연기한 사람은 바로 감독 자신. 그는 픽션의 여행에서 자신이 예전에 이 곳을 찾았을 때 실제 찍었던 과거의 사진을 주민들에게 나눠주며 스스로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문다. 그러면서 이 영화는 시간이 여전히 지속하면서 동시에 변화하고 있음을 엿보게 하며 그의 데뷔작 를 떠올리게 한다. 감독은 “지금 우리 마음은 사막처럼 황량하지만 이 여행이 끝날 때쯤 짙푸른 녹음이 우거진 오아시스를 만나게 될 거다”라 말한다.(김성욱)
달려라 장미
Screenplay
권태기 부부의 아슬아슬한 생활 코메디 우리에게도 로맨스가 존재할까? 맨날 보는 얼굴인데... 결혼 2년 차의 주부, 장영미. 성실한 남편 남대와 귀여운 아들, 겉으론 부족할 것 없는 단란한 가족이지만 연애시절의 환상은 온데간데 없고, 일말의 부끄러움조차 없어져버린 무덤덤한 부부생활에 이 놈의 사는 꼬라지가 답답하기만 하다. 스릴이란 전혀 없는 무덤덤한 잠자리 후, 슬쩍 처녀 시절 남자의 이야기를 꺼내보지만 남대는 성격 좋게도 자신의 친구이기도 했던 그의 안부를 궁금해 할 뿐이다. 이제 만성이 되어버린 지긋지긋한 불감증, 이대로는 참을 수 없다! 영미가 생각해 낸 아이디어는 바로 연애시절 처음으로 잠자리를 함께 했던 여관에서 그 날 밤을 재현하는 것. 옷까지 똑같이 차려 입고 역사가 이루어졌던 여관방을 찾은 두 사람은 그 모습을 캠코더에 담기로 한다. 나름 순수했던 처녀 총각 시절의 짜릿했던 첫 날밤을 연기하는 두 사람. 몇 번의 NG로 테잎을 되감으며 그 날의 뜨겁던 분위기를 슬슬 달궈가기 시작하는데 클라이막스에 다다르려는 순간! 남대는 뜬금없는 이야기로 산통을 깬다. 연애 시절의 짜릿함은 더 이상 리와인드 될 수 없음을 깨달은 영미. 결혼 2주년 기념일 날 이혼을 결심하고, 엉뚱한 행동으로 이를 결행한다. 2년 후, 재회한 영미와 남대. 영미는 처녀 시절의 꿈이었던 선생님이 되어 있고, 남대 역시 오랜 꿈이었던 영화감독 지망생이 되어 데뷔작을 준비 중이다. 오래간만의 만남, 서로의 마음을 읽어보려 애쓰는 모습이 우습기만 하다. 하지만 조금씩 서로의 속내도 이야기하며 결혼 때와는 사뭇 달라진 두 사람의 만남은 헤어질 듯 헤어질 듯 계속되는데 과연 이들은 해피 엔딩을 맞이할 수 있을까?
달려라 장미
Director
권태기 부부의 아슬아슬한 생활 코메디 우리에게도 로맨스가 존재할까? 맨날 보는 얼굴인데... 결혼 2년 차의 주부, 장영미. 성실한 남편 남대와 귀여운 아들, 겉으론 부족할 것 없는 단란한 가족이지만 연애시절의 환상은 온데간데 없고, 일말의 부끄러움조차 없어져버린 무덤덤한 부부생활에 이 놈의 사는 꼬라지가 답답하기만 하다. 스릴이란 전혀 없는 무덤덤한 잠자리 후, 슬쩍 처녀 시절 남자의 이야기를 꺼내보지만 남대는 성격 좋게도 자신의 친구이기도 했던 그의 안부를 궁금해 할 뿐이다. 이제 만성이 되어버린 지긋지긋한 불감증, 이대로는 참을 수 없다! 영미가 생각해 낸 아이디어는 바로 연애시절 처음으로 잠자리를 함께 했던 여관에서 그 날 밤을 재현하는 것. 옷까지 똑같이 차려 입고 역사가 이루어졌던 여관방을 찾은 두 사람은 그 모습을 캠코더에 담기로 한다. 나름 순수했던 처녀 총각 시절의 짜릿했던 첫 날밤을 연기하는 두 사람. 몇 번의 NG로 테잎을 되감으며 그 날의 뜨겁던 분위기를 슬슬 달궈가기 시작하는데 클라이막스에 다다르려는 순간! 남대는 뜬금없는 이야기로 산통을 깬다. 연애 시절의 짜릿함은 더 이상 리와인드 될 수 없음을 깨달은 영미. 결혼 2주년 기념일 날 이혼을 결심하고, 엉뚱한 행동으로 이를 결행한다. 2년 후, 재회한 영미와 남대. 영미는 처녀 시절의 꿈이었던 선생님이 되어 있고, 남대 역시 오랜 꿈이었던 영화감독 지망생이 되어 데뷔작을 준비 중이다. 오래간만의 만남, 서로의 마음을 읽어보려 애쓰는 모습이 우습기만 하다. 하지만 조금씩 서로의 속내도 이야기하며 결혼 때와는 사뭇 달라진 두 사람의 만남은 헤어질 듯 헤어질 듯 계속되는데 과연 이들은 해피 엔딩을 맞이할 수 있을까?
욕망
Director
로사는 남편의 애인을 빼앗고 싶었다. 로사는 외도하는 규민의 차를 미행하고, 남편의 애인이 남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남자애인과 뜨거운 키스를 나누던 남편은 아무렇지 않은 얼굴로 로사를 대하고, 그녀는 남편이 마실 물에 극약을 탄 뒤 홀로 유럽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