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tsul Girl Ksenia (2019)
장르 : 음악, 코미디, 로맨스
상영시간 : 1시간 30분
연출 : Olena Demianenko
시놉시스
1939 . A young Ukrainian-American man Yaro comes to the Carpathian Mountains, because his father left him a fortune under the condition that he would marry a Ukrainian girl. There Yaro meets a Hutsul girl Ksenya and has to rethink his plan.
미국에서 자란 유태인 조나단은 나치로부터 할아버지를 구해준 인물을 찾아 우크라이나로 향한다. 그를 안내해 줄 가이드는 장님인 체 하는 괴팍한 노인과 영어에 서툰 알렉스, 그리고 사나운 똥개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주니어. 채식주의자이고 개 공포증이 있는 조나단은 유태인과 미국인을 싫어하는 가이드와 함께 할아버지의 숨겨진 과거를 찾아 떠난다.
Lichter is an episodic tale from Hans-Christian Schmid about the life on the border between Germany and Poland. The film sheds light on the everyday stories of escape and desperateness.
[수입 수출]은 서로 다른 나라로 향하는 두 사람에 대해 이야기한다. 첫 번째는 젊은 간호사이자 갓난아기의 엄마이며 생계를 짊어지고 있는 올가에 대한 이야기. 그녀는 우크라이나에서 버는 돈으로는 도저히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 결국엔 오스트리아로 떠난다. 그 낯선 나라에서 그녀는 일을 구하지만 번번히 잃고, 가까스로 구한 병원 청소부 일을 하는 올가는 그 곳에서 죽어가는 병자들과 우정을 나누지만 친했던 할아버지가 죽은 뒤 삶의 의욕이 꺾인다. 다른 한 이야기는 젊은 오스트리아인 파울이 풀어간다. 그는 여자친구와의 관계도 원만치 않고, 돈벌이도 시원찮다. 그의 양부는 결국 그를 우크라이나로 데려가 도박게임기 설치하는 일을 맡긴다. 하지만 그들은 사사건건 부딪히고 끝내 파울은 양부를 뒤로하고 나와버린다.
〈마이단〉은 2013‒2014년 겨울에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일어난 대통령 야누코비치 정권에 반대하는 시민 봉기를 기록한다. 마이단 광장에서 시작되는 50만 명의 강력하면서도 평화로운 집회의 시작부터 시위대와 진압 경찰과의 유혈 거리 전투까지, 이 영화는 혁명의 진행 과정을 따라간다. 〈마이단〉은 각성하여 정체성을 재발견한 국가의 초상이다. 세르히 로즈니차 감독은 대중 봉기의 본질을 현 정치적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화적, 철학적 현상으로서 본다. 열정, 영웅적 투쟁, 공포, 용기, 열망, 사람들의 연대, 민속 문화, 열정 및 자기희생이 강력하게 혼합된 〈마이단〉은 고전 영화 제작 스타일과 다큐멘터리적 시급성을 결합한 놀라운 영화적 캔버스라 할 수 있다.
The film about the Holodomor famine in Ukraine, based on the novel 'The Yellow Prince' by Vasyl Barka. The film is told through the lives of the Katrannyk family of six. It relies more on images than on words shot in black-and-white.
In the suburbs of the city a 7-years old boy disappears. After months of fruitless searches the boy's older sister decides to take the deal over. She is confident that she knows who kidnapped her brother. Is this enough to justify a terrible revenge?
Story about Metropolitan of Ukrainian Greek Catholic Church Andrey Sheptytsky who opposed repressive totalitarian regimes of Stalin and Hitler and chose the path of service to God and people.
The Russian Malwa is based on a Maxim Gorky yarn. The title character, played by Zidra Ritenbergs, is the restless wife of a provincial village fisherman. Unwilling to dedicate herself to her husband, Malwa seeks out love from every man she meets. This results in a romantic triangle that is at once disarmingly simplistic and intensely dramatic. Malwa was the final directorial effort of Vladimir Braun, who died in 1957. Star Zidra Ritenbergs won a "Best Actress" award at the Venice Film Festival; co-stars Pavel Usovicenko and Anatoll Ighnaliev also earned praise for their realistic performances.
Singer Oksana has lost her beloved in the war. Everyone thinks he perished, but actually he was taken prisoner, then ran away, hid, fell into American hands, and… Finally, he returns to his village, and meets Oksana. —Yerev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 documentary triptych about a group of homeless kids, who have survived their drug-addicted childhood, grew up and started to live an adult life. It’s a story about a boy facing the surreal, degenerated society of his native village full of hate and sadistic anger while searching for his mother. It’s a story about a pregnant girl who wants to give birth to her child whose childhood will probably be even worse than hers. But her own sisters are forcing her to have an abortion.
Ukraine's topless feminist sensation Femen has created a media frenzy across Europe, but before they take the world by storm, these bold and beautiful women must confront the dark and perverse forces that power their organisation.
Everything is destined, isn't it?
What does the violent heart of revolution feel like? As the anger and hatred glow white hot is there a language its players use to speak to one another? And what becomes of the gun toting authorities when their fiefdom is destroyed, nobody is any longer afraid, and all things are ablaze? Just some of the questions addressed in this visceral documentary from Maidan square in the violent Ukrainian winter of 2013-14.
세 명의 미국인 라이언, 제니, 에단은 1932년 대기근 동안 우크라이나를 휩쓸었던 카니발리즘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찍으러 떠난다. 그들은 당시 가장 실종자가 많았던 우크라이나의 한 도시를 촬영지로 선택하고, 그 사건과 관련하여 최후의 생존자라고 알려진 인물 중 하나를 인터뷰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들은 도중 예상치 못한 실수를 하게 되는데, 바로 50명 이상을 살해한 잔인한 연쇄살인자이자 식인마인 안드레이 치카틸로의 악령을 깨운 것이다. 그들은 악령을 잠재우고 도시를 탈출하려고 하지만 연이어 벌어지는 기이한 일들에 사로잡힌다.
This video documentary centers on the questions of civil liberties and cultural differences in a society beginning to open as one woman searches for her own ethnic roots, identity and family history in Ukraine. Issues of human rights, anti-Semitism, homophobia, feminism and a divided and economically-depressed country are encountered as Barbara Hammer, a feminist activist and pioneer of lesbian cinema, return to a “homeland” full of struggling as people search for a new post-glasnost identity.
이상한 약물에 의해 강력한 파워를 얻게 된 아나키스트 브릭스턴 로어(이드리스 엘바)는 인류를 천천히, 그리고 영원히 다른 존재로 바꿔버릴 수 있는 생화학무기를 손에 넣고 자신은 진화형 인간이 된다. 그런데 데카드 쇼(제이슨 스타뎀)의 동생이자 M16 요원인 해티 쇼(바네사 커비)가 치명적인 병원균이 들어 있는 실린더를 브릭스턴의 손에서 훔쳐 달아난다. 양국으로부터 해티의 행방을 찾아달라는 명령을 받은 루크(드웨인 존슨)와 데카드는 유전자 조작으로 사실상 파괴 불가능한 존재가 되어버린 브릭스턴을 상대로 힘겨운 싸움도 이겨나가야 하는데...
For the first time, this documentary includes two exclusive interviews with Vladimir Putin and full details about actions in Crimea during spring 2014. These events determined the history of modern Russia. The President talks frankly and openly about the challenges and risks that Russia faced during that time. This film provides the Russian view of the situation. It is impossible to form a complete picture of the world without it.
Ilya Kabakov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emporary artists worldwide. Born and raised in the Ukraine in the period between Stalin and Gorbatschow he left the country in the 80s. In his Installations and his numerous paintings Kabakov creates a world of its own, which leaves the heaviness of socialist and post-socialist life far behind. The film links Ilya Kabakovs artistic spaces with insights into Russian everyday life, which itself sometimes appears like an installation by the artist.